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국내 中企, '환경' 중심으로 ESG 성적 개선

국내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성적이 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됐다.
국내외 ESG 규제 대응을 위한 정부·지자체의 기업 지원도 큰 도움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중소·중견기업 2131곳의 2022~2024년 ESG 평가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경영 수준이 2년 새 취약(2022년 2.0~2.2점)에서 양호(2024년 4.6~4.8점) 수준으로 2배 이상 향상됐다고 9일 밝혔다.
ESG는 환경(Environmental)·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 등의 약자로,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핵심 요소를 뜻한다.


기업들의 ESG 점수 상향을 주도한 건 대기오염물질(1.13→6.48), 온실가스(0.7→4.15) 등 환경 분야였다.
평가 등급은 취약(0~2.99)·양호(3~6.99)·우수(7~10) 등 구간으로 구분한다.


대한상의는 지역상공회의소와 연계해 전국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경영 수준을 검증해오고 있다.
진단을 처음 시작한 2022년에는 잠재적 위험이 높은 취약 등급에 해당하는 기업이 45.7%로 절반에 달했다.
지난해 조사에서 취약 등급 비중은 32.4%로 크게 줄었고, 양호 등급은 50.8%에서 58.1%로 늘어났다.
7점 이상을 받은 우수 등급 기업도 3.5%에서 9.5%로 증가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기후 변화, 초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위해성이 심각한 사회 이슈로 부각되면서 지자체마다 기업들에 대한 대기오염물질 감축시설 지원사업을 확대했다"며 "이처럼 대기오염물질 감축 협약을 체결하는 등 활동이 반영되면서 환경 분야 점수가 개선됐다"고 했다.


'정보보호' 분야는 2년 전보다 점수가 하락했다.
최근 해킹 기법이 정교해지고 '다크웹' 등 경로가 확산하면서 첨단기술력을 보유한 국내 기업들이 기술 유출·침해·위조 등 범행의 표적이 된 결과로 평가된다.
실제로 2017~2023년 사이 140건에 달하는 범행 사례가 적발된 바 있다.


아울러 대한상의는 국내외 ESG 규제 대응을 위한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기관의 기업 지원과 지자체의 노력도 기업들의 ESG 대응 수준을 향상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최근 ESG 규제 완화에도 수출기업은 공급망 내 환경·인권 관리 이슈가 남아 있다"며 "탄소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지원, 전국상의 연계 ESG 대응 설명회 등 국내 기업들이 경쟁력을 다져 통상 장벽을 넘을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32717085687001_1743062936.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