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코트라 "중국 실버산업, 은발경제 시장 공략한다"

중국의 고령화 가속과 소비 진작 분위기 확산에 따라 국내 기업들이 실버 의료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경상남도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9일부터 10일까지 이틀간 중국 청두에서 '한중 항노화 메디컬 플라자'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스마트 헬스기기, 인지개선 솔루션, 고주파 자극기, 초음파 치료기, 노화방지 미용제품, 기능성 화장품, 건강식품 등 항노화 관련 국내 기업 10개 사가 참가해 포럼과 상담회를 진행한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약 2억 20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5.4%를 차지하며, 이미 중도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충칭, 상하이, 베이징, 청두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고령 인구가 빠르게 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실버산업 규모는 국내총생산의 6%인 약 8조 3000억 위안에 이른다.
2030년에는 25조 위안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행사는 항노화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 중인 경상남도와 중국 쓰촨성 간 협력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경상남도에는 항노화 관련 기업이 1484개 입주해 있으며, 지역 핵심 산업으로 항노화 분야를 육성 중이다.
쓰촨성은 2023년 기준 고령화율이 18.46%에 달하며, 청두는 의료미용 중심지로 주목받고 있다.


행사 첫날 열린 한중 항노화 메디컬 포럼에는 주청두 총영사관, 경상남도, 쓰촨성 정부 관계자 및 기업인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비오이스마트케어, 지아메이윈창 등 전문가들이 양국의 항노화 산업 현황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어진 상담회에는 40여 개 중국 바이어가 참가해 국내 기업들과 약 70건의 상담을 진행했다.


둘째 날에는 청두 지역 대표 의료·요양시설을 방문하고 기업 교류회가 열렸다.
청두 원장 지역의 메디컬 시티는 600여 개사가 입주한 의료 복합단지로, 지난해에만 18만 명의 요양 인구가 유입됐다.
텐푸국제바이오시티는 약 300개 의약·의료기기 기업이 모인 바이오 클러스터로 주목받고 있다.
디스플레이 대기업 BOE가 운영하는 스마트 요양시설 '진청스광'에서는 국내 서비스와 비교 체험도 진행됐다.


행사에 참여한 신경자극기 업체 N사의 송재준 대표는 "중국의 지능형 요양시설 확대 움직임에서 시장성을 확인했다"며 "인증을 취득한 뒤 조속히 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황재원 코트라 중국지역본부장은 "1~2선 도시를 중심으로 실버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어 우리 기업의 현지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