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 중견기업 가운데 70% 이상이 미국의 관세 정책의 영향권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의 대응을 위해 세액공제 등 정부 지원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7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초청해 제30차 중견기업위원회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이종태 중견기업위원장(퍼시스 회장)을 비롯해 오원석 코리아에프티 회장, 김성열 슈페리어 부회장, 이준환 케이씨티시 부회장 등 중견기업 대표 및 임원과 이호준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상근부회장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최근 대한상의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제조 중견기업 중 70% 이상이 미국 관세 정책의 직·간접적 영향권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간담회는 전례 없는 통상위기에 대응해 우리 통상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정부 설명을 듣고 중견기업 간 소통을 위해 마련됐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통상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민관이 공동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한 팀, 한 목소리(one team, one voice)'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근 정부가 발표한 자동차 긴급지원방안 등 관세 조치에 따른 취약 부문·업종에 대한 차질 없는 지원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우리 경제의 허리이자 글로벌 공급망의 중추인 중견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범정부적 역량을 모으겠다"고 했다.
이종태 대한상의 중견기업위원장은 "미국의 관세 전쟁은 우리 기업들에 새로운 도전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며 "특히 수출의존도가 높고 글로벌 가치사슬과 밀접하게 연결된 중견기업들이 이러한 통상환경의 변화를 가장 먼저 직면하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이어 "하지만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며 "권역별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통상 영토를 확대하고 중견기업의 수출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날 대한상의 중견기업위원들은 미국과의 전략적 협상을 통한 관세율 조정과 더불어 ▲정부 당국의 긴밀한 정보 공유 ▲세액공제 등 생산비용 절감 지원 ▲대체 수출시장 확보 등 단기적 위기 극복과 중장기적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개선 과제들을 건의했다.
강명수 대한상의 기획회원본부장은 "국내 중견기업들은 제조업부터 도소매, 건설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업종이 분포돼 있어 대응도 업종별 해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