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2일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미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혼조 마감한 가운데, 1일 한국 증시에선 관세 불확실성에 대한 경계감으로 시장 관망세가 짙어질 전망이다.

31일(현지시간)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17.86포인트(1.0%) 오른 4만2001.76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30.91포인트(0.55%) 상승한 5611.85에 장을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3.7포인트(0.14%) 떨어져 1만7299.29에 거래를 끝냈다.
미 증시는 장 초반 트럼프 대통령의 보편관세 시행가능성 보도(WSJ) 등으로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를 중심으로 급락세를 보였지만, 이후 분기 말 윈도드레싱 자금 수요 및 저가 매수 자금 유입 영향으로 낙폭을 대부분 만회했다.
윈도드레싱이란 기관투자자들이 결산기를 앞두고 보유종목의 종가관리를 통해 펀드수익률을 끌어올리는 것을 말한다.
종목별로 보면 기술주 매도세가 강화되며 엔비디아가 1.18% 내렸다.
52주 신고가 기준 30% 넘게 하락한 것이다.
테슬라는 1.67%, 마이크로소프트(MS)는 0.90% 내렸다.
다만 애플은 아이폰 16e 출시 영향으로 1.94% 상승했다.
배당주인 코카콜라는 1.78%, 존슨앤존슨은 1.3% 올랐다.
미 자동차 업체인 포드와 제너럴모터스(GM)는 각각 3.19%, 0.75% 상승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엔비디아는 골드만삭스의 부정적 보고서 등으로 하락했지만, 장기적 성장성을 보여줬다.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정치적 논란과 차량 인도량 하락 전망에 약세였다"며 "미국 주요 지수는 전반적으로 혼조세로 마감했지만, 위험 회피 심리가 강화됨에 따라 향후 시장 불확실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의 관심은 미국 상호관세 발표에 쏠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참모진이 총출동한 가운데 상호관세를 발표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기본적으로 모든 교역 상대국에 예외 없이 상호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한국증시에 대해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국내 공매도 재개와 트럼프 관세 현실화, 미국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등이 맞물리며 변동성 흐름을 보일 전망"이라며 "이날 한국 3월 수출입 통계, 중국 차이신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 호주중앙은행(RBA) 통화정책회의 등이 예정돼 있다"고 짚었다.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전날 낙폭과대 인식 속 대형주 중심으로 저가 매수 자금이 일부 유입될 것"이라면서도 "원·달러 환율 1470원대 레벨 안착, 공매도 재개에 따른 단기 수급 변동성 확대 등 요인으로 지수 상방이 제한되는 흐름을 보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 공매도에 따른 영향권에 노출될 수 있는 만큼 대형 가치주 업종의 상대 우위 현상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