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KBL 제공 |
어떤 종목, 어느 팀이든 연패가 길어지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단순히 패배만 쌓이는 것이 아니다.
패배의식 또한 차곡차곡 늘어난다.
연패를 끊어야 한다는 생각에 조급해지고, 그러다 보면 실수들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프로농구 정관장도 그랬다.
잘 싸우다가도 경기 후반 무기력하게 경기를 내주는 일이 많았다.
눈 깜빡할 사이 어느덧 연패는 ‘10’을 가리키고 있었다.
1패만 더하면 팀 최다 연패 신기록이라는 불명예스러운 기억을 남길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그래서일까. 12일 한국가스공사와의 홈경기서 절실하게 부딪혔다.
리바운드에서 완전한 열세에 놓였음에도(35개-45개) 포기하지 않았다.
상대의 강점인 외곽 슛을 5개로 묶으며(올 시즌 경기 당 평균 10.6개) 기회를 만들었다.
결국 74-67로 웃었다.
2025년 첫 승리. 동시에 지난해 12월 15일 소노전 이후 처음으로 맛본 승리였다.
주장 정효근은 “연패 기간이 너무 길었지 않나. 선수들 모두가 열심히 해줬는데 결과가 따르지 않으니 속상하더라”고 끄덕였다.
![]() |
사진=KBL 제공 |
단순한 1승이 아니다.
반전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최근 정관장은 변화를 꾀했다.
지난달 19일 마이클 영을 클리프 알렉산더로 교체한 데 이어 10일 KCC와 외인 트레이드를 단행했다.
캐디 라렌을 내주고 디온테 버튼을 품었다.
정관장의 가장 취약점이었던 외인 부분을 보강한 것. 정관장은 14일 SK전을 치른 뒤 올스타 브레이크 기간을 갖는다.
김상식 정관장 감독은 “분위기가 굉장히 좋아졌다.
앞으로도 계속 잘 맞춰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정관장은 특히 버튼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확실한 1옵션 외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원이다.
뛰어난 득점력을 갖췄다.
버튼은 2017~2018시즌 DB 유니폼을 입고 54경기서 경기 당 평균 23.5득점 8.6리바운드 3.6어시스트 등을 올리며 외인 최우수선수(MVP)로 뽑힌 바 있다.
정효근은 “버튼은 국내 선수 혼자서는 막기 힘들지 않을까 싶다.
와이드 오픈이 생기는데, 좋은 효과라고 생각한다.
중요한 순간 해결해줄 선수가 있다는 것 자체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안양=이혜진 기자 hjlee@sportsworldi.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스포츠월드(www.sportsworldi.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