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경제 상황에 대한 불안감이 세계 각국에서 널리 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자녀 세대의 재정 상황을 현재보다 비관적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견해는 고소득 국가에서 특히 두드러졌으며, 한국은 해당 질문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한 비율이 전세계 평균보다 높았다.
9일(현지시간)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가 지난해 봄 36개국 국민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7%가 "자녀 세대는 부모 세대보다 경제적으로 더 나빠질 것(가난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답했다.
미래 경제 상황에 대한 비관론은 선진국일수록 뚜렷하게 나타났다. 아이들이 자라서 부모 세대보다 가난해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프랑스(81%)였고, 영국과 이탈리아가 각각 79%로 뒤를 이었다. 캐나다(78%)와 일본(77%), 미국(74%) 등 대부분의 G7(주요 7개국) 회원국 응답자들도 미래 경제 상황을 비관적으로 예상했다. 한국 역시 응답자의 66%가 자녀 세대가 부모 세대보다 가난해질 것이라고 답해, 전세계 평균보다 높았다.
반면 인도는 75%에 달하는 응답자가 "자녀 세대는 부모 세대보다 경제적으로 더 나아질 것(잘 살 것)"이라고 기대했다. 부모 세대보다 더 가난해질 것이라며 부정적으로 답한 비율은 19%에 그쳤다. 방글라데시(73%)와 인도네시아(71%), 필리핀(70%)도 미래 경제 상황에 대한 낙관적인 예상이 우세했다.
조사를 실시한 퓨리서치센터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때보다 경제적 비관론이 더 늘었다"며 "추세 확인이 가능한 31개국 중 15개국에서 '자녀 세대가 부모 세대보다 재정적으로 더 나빠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팬데믹 이전 조사 때보다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또한, 설문조사에 참여한 36개국의 응답자 10명 중 8명 이상은 자국의 '빈부 격차'가 큰 문제가 되고 있다고 답했다.
자국에서 빈부 격차가 '매우 큰 문제(54%)' 혹은 '다소 큰 문제(30%)'라고 답한 비율은 84%에 달했다.
독일(92%)과 터키(92%), 그리스(91%) 등 유럽연합(EU) 회원국과 함께 아르헨티나(91%) 등 발전도상국 응답자들도 빈부격차를 큰 문제로 규정했다. 한국은 82%로 호주(82%), 미국(83%), 일본(80%) 등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한국 응답자 중 47%는 빈부격차가 '매우 큰 문제'라고 답했고, 35%는 '다소 큰 문제'라고 답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