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교포 작가 이회성 외국인 첫 日아쿠타가와상 수상 납북자 문제 해결 촉구 앞장서 북한 정권 향한 통렬한 비판도 교도통신 “일본 문학 틀 벗어나 세계문학을 만들어냈다” 평가
일본 문학상인 아쿠타가와상을 받은 재일교포 소설가 이회성 작가가 지난 5일 일본 도쿄의 한 병원에서 폐렴으로 별세했다. 향년 89세. 14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1935년 사할린에서 태어난 고인은 와세다대 러시아문학과를 졸업한 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에서 기자로 활동했다. 1969년 잡지 ‘군상’의 신인상을 받으면서 데뷔했고, 1972년 ‘다듬이질하는 여인’으로 외국인 작가로는 처음으로 아쿠타가와상을 받았다. 1994년에는 ‘백년 동안의 나그네’로 노마문학상을 수상했다. 1998년 한국 국적을 취득했고, 2000년대부터는 재일교포로서의 삶을 집대성한 작품으로 평가되는 ‘지상생활자’를 집필했다. 한국에서 강연을 통해 북한 정권을 비판하면서 한국, 일본 정부에 납북자 문제 해결을 강하게 촉구하기도 했다. 그는 한 강연에서 “북한의 한국인, 일본인 납치 문제를 경시하는 것은 도의적인 국가의 태도라고 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북한에 대해 “목적을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는 독특한 전제주의”, “이른바 선군정치사상으로 득을 본 것은 관료와 군대일 뿐이며 굶주림에 고통받는 것은 인민들”이라고 평가하는 등 북한 정권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을 거침없이 드러내기도 했다. 고인은 “소설가가 유의해야 할 것은 사회의 부정의와 싸우는 것이다. 자신의 추악한 면을 그려야 하고 (사회의) 좋은 점만을 그려서는 안 된다”는 말로 자신의 문학관을 설명하기도 했다. 교도통신은 고인의 작품에 대해 “조국이 분단된 민족의 역사를 배경으로 세대교체로 희미해지는 민족의 자각을 그렸다”며 “해외에 흩어진 한국인 전체의 상황을 작품에 반영했다. 재일교포라는 출신을 깊이 파고 들어가 일본 문학의 틀에서 벗어난 ‘세계문학’을 만들어냈다”고 평가했다. 아사히신문은 “남북으로 분단된 조국에 대한 생각을 계속 묘사했다. 1970년대 한국을 무대로 조국통일에 고투하는 사람들을 통해 역사와 마주하는 작품을 쓰기도 했다”며 “1980년대 창작을 중단하고 민중극 공연이나 자이니치문학 문예지 ‘민도’ 발행에 힘을 쏟았다”고 소개했다. 도쿄=강구열 특파원 river910@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