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국민연금 도입 37년 만에 첫 '월 300만원' 수급자 나와

newhub_20250124091455238390.jpg
지난달 서울 서대문구 국민연금공단 서울북부지역본부에서 시민이 상담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민연금을 매달 300만원 이상 받는 사람이 처음 나왔다.
 1988년 국민연금 제도가 도입된 지 37년 만이다.
24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올해 1월 국민연금 수령 액수가 월 300만원을 넘는 사람이 처음 등장했다.
이 수급자는 노령연금(노후 수급 연령에 도달했을 때 받는 일반적 형태의 국민연금) 수급자로 30년 이상 장기 가입자다.
또 '소득대체율'이 높았던 국민연금제도 시행 초기 가입자다.
 또 '노령연금 연기제도'를 활용해 수급 연령을 5년 뒤로 늦춰서 수령 액수를 늘린 것도 한 몫했다.
국민연금은 가입자가 최소 10년(120개월) 이상 보험료를 내야만 노령연금 수급 권리를 확보할 수 있다.
 가입 기간이 길수록, 낸 보험료가 많을수록, 소득대체율이 높을수록 수령 금액이 커진다.
국민연금 출범 당시 소득대체율은 70%(40년 가입 기준)였다.
소득대체율은 일할 때 받던 생애 평균소득의 몇 퍼센트를 노후에 국민연금이 대체해 줄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올해 소득대체율은 41.5%까지 낮아졌다.
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기금고갈 우려에 따라 1차 개혁 때 60%로 낮아진 후 2차 개혁을 거쳐 2008년부터 매년 0.5%포인트씩 떨어져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40%까지 하락하게 돼 있다.
 
연금 연기제도는 노령연금 지급 연기에 따른 연금액 가산 제도를 말한다.
노령연금 수급권자가 희망하는 경우 보험료는 더 내지 않고 연금 수령 시기를 최대 5년(출생 연도에 따라 70세까지) 동안 연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늦춰서 받을 수 있게 한 장치다.
연기 기간에 따라 연 7.2%(월 0.6%)씩 연금액이 늘어난다.
최초로 월 300만원 이상 노령연금 수급자가 등장했지만 전체 수급자가 받는 평균 금액은 그에 못미친다.
국민연금연구원의 '공적연금 제도 간 격차와 해소방안'(연구자 성혜영·신승희·유현경) 정책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국민연금 수급자의 1인당 월평균 노령연금 수령액은 53만원이다.
2024년 9월 말 기준으로는 월 65만4471원이다.

아주경제=백소희 기자 shinebaek@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124091455238390.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좎럥큔�얜��쇿뜝占�
HTML�좎럥梨룟퐲占�
亦껋꼶梨띰옙怨�돦占쎌슜��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