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중국계 이커머스 파상 공세 속에서도…쿠팡·신세계그룹 충성 고객층 ‘굳건’

“기존 플랫폼, 충성 고객 방어 성공해”

지난해 중국계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의 거센 공세에도 불구하고, 신세계그룹 계열과 쿠팡이 충성 고객층을 탄탄히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newhub_20250127500925.jpg
연합뉴스

26일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커머스 플랫폼별 연간 신용카드 결제 추정액에서 쿠팡이 35조3726억 원으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이는 G마켓(4조9599억 원), 11번가(4조1268억 원), SSG닷컴(3조2570억 원), 컬리(1조6841억 원), 옥션(1조3922억 원), 알리익스프레스(1조3517억 원) 등 주요 6개 플랫폼의 합산 결제 추정액보다 두 배 이상 많은 수준이다.

월평균 활성 이용자 수(MAU)에서도 쿠팡은 3096만 명으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11번가(785만 명), 알리익스프레스(663만 명), 테무(586만 명), G마켓(483만 명), 컬리(322만 명), SSG닷컴(207만 명), 옥션(205만 명)이 뒤를 이었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중국계 플랫폼이 빠르게 성장하며 각각 3위와 4위에 올라선 점이 주목된다.
이들의 월평균 MAU는 2023년 대비 각각 68.8%와 428.7% 급증했다.

쿠팡은 같은 기간 3.6% 증가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보였다.
쿠팡이 와우 멤버십 월 회비를 4990원에서 7890원으로 인상했음에도 대규모 회원 이탈은 발생하지 않았다.

MAU와 결제 추정액을 기준으로 한 1인당 평균 결제 추정액에서는 SSG닷컴이 13만1772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쿠팡(9만5166원), G마켓(8만5200원), 옥션(5만6454원), 11번가(4만3849원), 컬리(4만3598원)가 뒤를 이었다.
반면, 알리익스프레스(1만6849원)와 테무(7053원)는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1인당 결제 추정액은 플랫폼 충성도를 가늠하는 주요 지표로, 이용 빈도가 높고 구매력이 강한 충성 고객일수록 이 수치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SSG닷컴의 경우 이마트와 신세계백화점 등 오프라인 계열사의 상품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플랫폼 특성 덕분에 충성 고객을 확보하기 유리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장보기 상품부터 패션, 명품, 화장품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교차 구매가 가능하다는 점도 한몫했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는 초저가 공세로 국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며 이용자 수를 늘리는 데 성공했지만, 플랫폼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는 데는 한계를 보였다.

지난해 중국계 이커머스 업체의 강력한 공세에도 불구하고, 쿠팡과 신세계그룹 계열 플랫폼은 충성 고객층을 유지하며 시장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는 중국계 플랫폼들이 기존 플랫폼의 고객층을 위협할 정도의 충성도 확보에는 이르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127500925.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좎럩伊숋옙館嫄ュ뜝�뚮폇�좎룞�숋옙�⑹맶占쎌쥜��
HTML�좎럩伊숋옙恝�뽫뙴�쒕㎦占쎌쥜��
�낉옙�붺몭�겹럷占쎄퀣�뺧옙�⑥삕占쏙옙�앾옙��뮔�좎룞��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