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그맨이자 친환경 스타트업 ‘푸른하늘’ 대표인 장동민 씨가 자신이 개발한 ‘페트병 원터치 분리 라벨’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해당 발명품은 병뚜껑을 돌리면 라벨이 자동으로 분리되는 방식으로, 소비자의 분리배출 불편을 해소하고 재활용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푸른하늘 제공 |
‘개그천재’로 통하던 장동민이 이번엔 환경 문제 해결사로 나섰다.
그가 직접 개발한 ‘페트병 원터치 분리 라벨’ 기술이 드디어 상용화 단계에 돌입한 것이다.
지난 7일, 장동민이 대표로 있는 친환경 스타트업 ‘푸른하늘’은 광동제약, 삼양패키징과 함께 ‘페트병 라벨 개발 및 생산을 위한 3자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협약은 단순한 기술제휴를 넘어, 기술의 사업화와 양산체계 구축까지 포함된 포괄적 협력이다.
핵심은 장동민이 직접 발명하고 특허 등록한 ‘세로형 원터치 분리 라벨’ 기술이다.
기존 페트병 라벨이 대부분 병의 중심을 가로로 감싸고 있는 반면, 이 기술은 병의 세로 방향으로 라벨을 부착해 병뚜껑을 돌리면 라벨이 한 번에 분리되도록 설계됐다.
분리수거 시 손으로 직접 라벨을 뜯어내야 했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재활용률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는 평가다.
장동민은 “페트병을 버릴 때마다 라벨 떼는 게 너무 귀찮았다.
이 불편함이 아이디어의 출발점이 됐다”며, “소비자가 환경 보호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든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 기술은 2023년 환경부가 주최한 ‘환경창업대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하며 기술성과 친환경 가치를 동시에 인정받은 바 있다.
이번 MOU를 통해 푸른하늘은 기술을 제공하고, 광동제약은 이를 자사 음료 브랜드의 패키징에 우선 적용할 예정이다.
삼양패키징은 라벨의 대량 생산 가능성과 포장 공정에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기술의 양산화 및 제품화를 위한 테스트를 담당한다.
업계 관계자들은 장동민의 발명품이 국내는 물론 글로벌 친환경 패키징 시장에서도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EU, 미국 등에서 페트병 재활용 규제가 강화되는 흐름 속에서, ‘라벨 제거 편의성’은 기업들의 중요한 과제로 떠오른 상황이다.
한편, 장동민은 2004년 KBS 19기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한 이후, ‘크라임씬 리턴즈’(티빙), ‘피의 게임3’(웨이브) 등 다양한 방송에서 재치와 두뇌 플레이를 선보이며 ‘방송계 지니어스’로 불렸다.
그런 그가 사업가이자 발명가로서 두각을 드러내자 방송가 안팎에서도 “장동민다운 혁신”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그는 “이번 기술이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환경 문제 해결에 작은 기여가 되길 바란다”며, “더 나은 세상을 위한 발명에 도전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