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가격 상승, 고환율, 인건비 및 에너지 비용 상승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가공식품과 외식 가격은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 |
연합뉴스 자료사진 |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파면 이후, 기업들의 가격 인상이 다소 주춤해질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8일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 물가 동향에 따르면, 가공식품 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3.6% 상승하여 2023년 12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커피(8.3%), 빵(6.3%), 햄과 베이컨(6.0%) 등은 가격 상승률이 특히 두드러졌다.
외식 물가는 3.0% 상승하며 2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1% 상승했으며, 외식과 가공식품이 각각 0.42%포인트와 0.30%포인트 물가 상승에 기여했다.
올해 들어 3개월 동안 커피, 빵, 냉동만두, 과자, 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품목의 가격이 인상되었고, 최근에는 라면(오뚜기), 맥주(오비맥주), 햄버거(롯데리아) 등도 가격이 오른 상태다.
최근 몇 달 동안 CJ제일제당, 대상, 동원F&B, 롯데웰푸드, 오뚜기, 농심, SPC삼립, 오리온 등 주요 식품 대기업들이 가격 인상에 나섰다.
이제는 가격을 인상하지 않은 기업이나 품목을 찾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다.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 환율 상승(원화 가치 하락) 등으로 인해 원재료 수입 단가가 높아져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지난해 정부로부터 물가 안정에 동참할 것을 요청받으면서 가격 인상을 미루어왔던 기업들은 그동안의 부담을 감내해왔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가격 인상은 정치적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틈을 타 이루어진 측면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식품·외식 기업들의 가격 인상 사례는 향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관세 전쟁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는 국내 먹거리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었지만, 원/달러 환율은 여전히 1400원대에 머물고 있어 원가 부담은 여전히 큰 상황이다.
환율 급등 여파로 대형마트에서는 냉동 고등어, 소고기 등 일부 품목의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다.
예를 들어, 올해 계약한 노르웨이산 냉동 고등어의 단가는 지난해보다 약 10% 상승했다.
기후변화는 물가 변동성을 더욱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
폭염, 집중호우, 극단적인 기상 현상 등이 농산물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기후플레이션을 더욱 현실화시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배추 가격은 작년보다 49.7%, 무는 86.4% 상승했으며, 이는 기후변화로 인한 작황 부진이 주요 원인이다.
해외의 기후변화도 국내 먹거리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브라질과 베트남의 커피 원두, 서아프리카의 코코아 생산량 감소로 인해 커피와 초콜릿 가격도 올랐다.
최근 경북 산불로 사과, 마늘, 고추 등의 가격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먹거리 물가는 단기적인 안정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특히 기후변화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향후 물가 변동성은 더욱 커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