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제주4·3기록물’·‘산림녹화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화해와 상생 통한 과거사 해결 역사 기록, 성공적인 산림녹화사업 추진과정 … 우리나라 20건의 세계기록유산 보유

현대사의 비극인 제주도 민간학살 피해와 진상규명 과정을 담은 ‘제주 4.3사건 기록물’과 6.25 전쟁 직후 황폐화된 국토 산림녹화 경험을 담은 ‘산림녹화(山林綠化)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이 됐다.

1948년도 제주도 마을사진. 제주 4.3사건 기록물 일부. 국가유산청
유네스코는 1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21차 집행이사회에서 한국이 신청한 ‘제주 4.3사건 기록물’과 ‘산림녹화기록물’을 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UNESCO Memory of the World)으로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제주 4.3사건 기록물’은 1948년 4월 3일 대한민국 제주도에서 발발한 사건으로 인해 발생한 수많은 민간인 학살에 대한 피해자 진술, 진상규명과 화해의 과정에 대한 기록이다.
4·3 당시부터 정부의 공식 진상조사 보고서가 발간된 2003년까지 생산된 재판 기록과 피해자 진술 등 자료 1만4000건으로 구성됐다.
세계사적으로 인권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제주도민들의 화해와 상생 정신을 통해 아픈 과거사를 해결하는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1949년 형무소에서 온 엽서. 제주 4.3사건 기록물 일부 국가유산청 제공
제주읍인민위원회 결정서(성명서) (1947)
사건 희생자 및 유족 심의결정요청서. 제주 4.3사건 기록물 일부.
‘산림녹화기록물’ 은 6.25전쟁 후 황폐화된 국토에 민·관이 협력하여 성공적인 국가 재건을 이뤄낸 산림녹화 경험이 담긴 자료이다.
산림녹화 기록물은 6·25 전쟁으로 인해 황폐해진 국토를 민관이 힘을 모아 성공적으로 재건했던 경험을 정리한 것으로 공문서, 사진, 홍보물, 우표 등 9600건으로 이뤄졌다.
세계의 다른 개발도상국이 참고할 수 있는 모범 사례이자 기후변화, 사막화 방지 등 국제적 이슈에 본보기가 될 기록물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국가유산청은 2023년 11월 유네스코에 ‘산림녹화 기록물'과 '제주 4·3 사건 기록물을 세계기록 유산으로 등재 신청서를 제출해 유네스코 지난해 세계 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가 두 기록물에 대한 등재를 권고한 바 있다.

1973~1977년 포항 영일만 일대 산림 복구과정을 기록한 사진. 국가유산청 제공
1970년대 나무심기를 독려하는 포스터. 국가유산청 제공
이로써 우리나라는 1997년 처음 등재된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해 모두 20건의 세계기록 유산을 보유하게 돼 기록문화 강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태해 선임기자 pth1228@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411503584.jpg
  • newhub_20250411503588.jpg
  • newhub_20250411503585.png
  • newhub_20250411503587.jpg
  • newhub_20250411503589.jpg
  • newhub_20250411503590.pn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좎럥큔�얜��쇿뜝占�
HTML�좎럥梨룟퐲占�
亦껋꼶梨띰옙怨�돦占쎌슜��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