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관절 수술 6000회 돌파
“‘우리 엄니 아부지, 함께 걷는 그날을 위해’라는 슬로건을 걸고 제대로 걷지도 앉지도 못하는 어르신들의 재활을 위해 저희 천안의료원 전 직원이 똘똘 뭉쳤습니다.
”
김대식 충남 천안의료원장은 17일 천안의료원에서 열린 인공관절 치환술 6000례(회) 돌파 기념식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원장은 “돈이 없어 인공관절 치환수술 한 번 받지 못하고 앉은뱅이 신세로 살아가시게 할 순 없다”며 “공공의료기관이 돈 없고 아픈 사람을 돌보고 찾아가는 것은 당연한 책무”라고 말했다.
![]() |
17일 충남 천안의료원에서 김태원 부원장(왼쪽 첫번째)과 김 부원장으로부터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고 건강을 되찾은 수술 사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류마티스 관절염, 외상 후 관절염, 다리 기형 등을 치료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문제는 비용이다.
양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을 상급종합병원이나 민간 전문병원에서 받을 경우 수술비 및 4∼5주간의 입원비, 재활치료비를 포함하면 1000만원이 훌쩍 넘는다.
하지만 천안의료원의 경우 500만원가량만 내면 된다.
천안의료원은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포괄수가제와 건강보험을 적용해 환자 부담을 낮추고 있다.
천안의료원이 퇴행성관절염을 앓고 있는 어르신들의 무릎수술 ‘희망병원’이 된 데는 김태원 부원장의 공이 컸다.
천안의료원이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작한 것은 김 부원장이 부임한 2011년 8월부터. 김 부원장은 첫해 17회를 시작으로, 2013년 141회를 기록하며 연간 100회를 넘긴 뒤 지난해에는 663회 수술을 집도했다.
올 2월4일까지 김 부원장이 실시한 인공관절 치환술은 6010회. 이 중 814회는 천안의료원이 관내 자치단체 등의 의뢰를 받아 무료로 진행했다.
김 부원장은 “코로나19와 같은 어려운 시기에도 환자 한 분 한 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며 “어머니 아버지를 모시는 마음으로 수술에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천안=글·사진 김정모 기자 race1212@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