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LG전자, 서울시내 전기차 급속충전기 50대 이상 공급

LG전자가 서울시와 손잡고 국내 전기차(EV) 충전 솔루션 사업을 확대한다.
2026년까지 서울시 내 공원·주차장 등에 전기차 급속 충전기 50대 이상을 공급한다.
복지센터에는 교통 약자용 로봇 충전 솔루션을 10대 이상 설치할 계획이다.


LG전자는 30일 서울시 중구 서울시청에서 서울시와 '이용하기 편리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체결식엔 여장권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 우종진 LG전자 비즈니스솔루션(BS) 연구소장 등이 참석한다.


업무협약을 통해 국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양적 확대뿐 아니라 급속 충전·교통 약자 도움형 등 맞춤형 충전 솔루션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넥씽 등 충전사업자(CPO)에 200㎾(킬로와트)·100㎾ 급속 충전기 및 7㎾ 완속 충전기, 로봇 충전 솔루션을 공급한다.
서울시는 전기차 충전기가 필요한 공간을 찾고 필요한 행정 지원을 한다.


서울시가 운영하는 건물, 공원, 주차장 등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 교체 및 추가 공급을 통해 2026년까지 급속충전기 50대 이상을 설치한다.
복지센터를 중심으로 두산로보틱스와 공동 개발한 로봇 충전 솔루션을 10대 이상 설치해 교통 약자의 충전 편의성을 증대한다.


로봇 충전 솔루션은 LG전자의 급속 충전기(200·100㎾)와 두산로보틱스의 충전 로봇을 접목해 만들었다.
운전자가 전기차를 충전 가능 구역에 주차하고 충전구를 열면 충전 로봇이 스스로 충전케이블을 연결한다.
거동이 불편한 고객도 충전케이블을 직접 연결하지 않고 쉽게 충전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LG전자는 클라우드 기반 관제 플랫폼 '이센트릭'을 통해 충전 현황 등 충전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지난해 말부터 평일 주간 시간대에만 제공하던 전기차 충전기 서비스 시간을 평일 야간, 주말까지 확대 운영하고 있다.


글로벌 전기차 충전 사업도 확대 중이다.
LG전자는 지난달 북미 1위 충전사업자인 차지포인트와 '전기차 충전 사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다.
차지포인트는 미국과 캐나다 전역에 전기차 충전소를 운영하는 북미 최대 충전사업자다.


서흥규 LG전자 전기차(EV) 충전사업담당은 "차별화된 품질의 충전기와 관제 플랫폼을 결합한 충전 솔루션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수요를 공략해 신뢰할 수 있는 충전 솔루션 사업자 입지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4073007432468570_1722293004.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