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기아, 매출 첫 100조원 돌파…"두자릿수 영업이익률 지속"(종합)

기아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매출은 창사 이래 처음으로 100조원을 돌파했다.


기아는 제품 믹스·평균판매가격(ASP) 개선에 따른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올해에도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지속하겠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newhub_2023101215304113287_1697092241.jpg
친환경차 판매 증가…"전기차 캐즘에 다각화 대응 효과"

기아는 24일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연결기준 매출 107조 4488억원, 영업이익 12조6671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역대 최대 실적이다.
각각 전년 대비 7.7%, 9.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원·달러 환율이 4.5% 상승하면서 1조4650억원가량 원화 환산 이득을 봤다.
영업이익률은 11.2%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올랐다.


연간 판매량은 전년 동기보다 0.1% 증가한 308만9300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63만8000대, 하이브리드차 36만7000대가 판매되며 매출 상승을 이끌었다.
각각 전년 대비 10.9%, 20% 늘었다.
전기차 판매량은 10.2% 증가한 20만1000대로 집계됐다.
친환경차 비중은 21.4%로 전년보다 2.3%포인트 증가했다.


김승준 재경본부장은 "지난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등 산업환경 변화에 민첩히 대응해 하이브리드 판매를 늘리는, 현대차·기아만이 가진 다각화가 빛을 발했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4분기 성적도 좋았다.
국내 14만934대, 해외 62만9051대 등 총 76만9985대를 판매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7조1482억원, 2조7164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6%, 10.2% 늘어난 수치다.


newhub_2021011509413827795_1610671298.jpg
"올해 321만대 판매 목표…트럼프 관세 리스크 대비"

기아는 올해 연간 판매목표(321만 6000대)를 지난해 대비 4.1% 올려 잡았다.
연간 매출(112조5000억원)은 같은 기간 4.7%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2조4000억원, 연간 영업이익률은 11%로 제시했다.


기아는 "대외 불확실성에도 제품 믹스 및 평균 판매가격(ASP) 개선에 따른 본원적 경쟁력을 앞세워 올해에도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지속해서 유지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기아는 올해 북미와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하이브리드·EV 등 친환경차 판매를 지속해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신차로는 첫 픽업트럭인 타스만, 인도 전략모델 시로스,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PV5를 출시한다.
세단형 전기차 EV4를 전 세계에 순차 출시하고, 준중형 SUV EV5를 국내 출시해 '대중화 EV 풀 라인업'을 구축한다.


다만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멕시코에 대한 25% 추가 관세는 리스크로 꼽힌다.
기아는 멕시코 공장에서 'K4' 12만대를 생산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 본부장은 "불확실성이 많다"면서도 "가격 인상이나 생산지 조정 등을 통해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단기적으로는 부과된 관세만큼 추가 부담이 생기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수익성을 훼손할 만큼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봤다.


아울러 기아는 올해 북미를 제외한 시장에서 인센티브 증가 없이 판매를 늘리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북미의 경우 다른 지역과 달리 신차가 없어 인센티브를 활용해 판매를 늘리겠지만, 신차를 많이 출시하는 곳에서는 인센티브 증가 없이 판매 성장할 수 있다고 봤다.


한편, 기아는 올해 연간 기준 주당 6500원을 배당금으로 지급한다.
지난해(5600원)와 비교하면 900원 증가했다.
자사주 매입·소각분(7000억원)은 전년 대비 2000억원 확대했다.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매입한 자사주는 올해부터 조건 없이 100% 소각한다.
또 최근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따라 '총 주주환원율(TSR, 배당 및 자사주 매입·소각분)'은 2024년 기준으로 33.3%를 달성한다.
올해는 TSR을 35%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기아는 "앞으로도 경영 성과뿐 아니라 주주에 대한 이익 환원을 동시에 추구하는 동반 성장 기조를 지속해서 강화할 계획"이라며 "주주 및 투자자와의 적극적 소통을 위한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는 4월 초 실시할 것"이라고 했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3101215304113287_1697092241.jpg
  • newhub_2021011509413827795_1610671298.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