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현대차그룹, 美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준공 "모빌리티의 미래 실현"

현대자동차그룹이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미국에 최첨단 제조 혁신 거점을 구축했다.
부지 면적만 여의도에 4배에 달하는 전략적 생산 기지로 미국은 물론 자동차 생산의 글로벌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내 100만대 생산 체제가 가동되면 미국 내 톱티어 자동차 기업으로서 위상을 확고히 할 수 있다.
지역을 넘어 한국과 미국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양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을 개최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장재훈 부회장, 호세 뮤뇨스 현대차 대표, 송호성 기아 대표를 비롯해 HMGMA 임직원과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 버디 카터 연방 하원의원, 앙헬 카브레라 조지아공대 총장, 조현동 주미 대사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정의선 회장은 환영사에서 "HMGMA는 혁신적 제조 역량 이상의 더 중요한 가치를 의미한다"며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모빌리티의 미래이며, 바로 이곳에서 그 미래를 함께 열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는 "HMGMA는 오랜 시간 준비한 결과이며, 현대차그룹의 신속한 결정과 실행력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며 "조지아주는 이번 프로젝트를 가능하게 한 우수한 대학, 인력 양성 프로그램, 물류, 인프라 등을 기반으로 현대차그룹의 혁신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켐프 주지사는 HMGMA에서 생산한 아이오닉 5에 직접 서명해 축하의 의미를 더했다.



이날 행사장 입구에는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HMMA), 기아 조지아 공장(KaGA), HMGMA에서 생산하는 GV70 전동화 모델, EV9, 아이오닉 5가 전시되고, 보스턴다이나믹스의 4족 보행 로봇 스팟(SPOT)이 안내를 돕는 등 현대차그룹의 미국 생산 네트워크와 현지 법인들의 유기적 협력이 주목을 받았다.


준공식에 앞서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 등 주요 참석자들은 정 회장과 프레스에서 의장에 이르는 생산라인을 둘러봤으며, 로봇이 조화를 이루는 인간 중심 제조 공정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HMGMA는 자동화 제조기술과 지능화, 유연화로 제조 혁신을 구현한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SDF)이다.
인간 중심적으로 설계된 제조환경 안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로보틱스-사람을 연결해 유연하고 자유로운 협업으로 미래 모빌리티를 구현하겠다는 현대차그룹의 의지를 담았다는 설명이다.


특히 '메타플랜트'라는 이름에 '초월'을 뜻하는 '메타'와 생산거점인 '플랜트'를 더해, 현재의 한계를 초월해 새로운 창의성의 중심이 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현대차그룹은 HMGMA 근로자도 '메타프로'로 정했다.



현대차그룹은 2022년 10월 미국 내 세 번째 생산거점인 HMGMA는 연산 30만대 규모의 첨단 기술 기반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하기로 결정하고 착공을 시작했다.
작년 10월부터 아이오닉 5를 생산했고, 이달부터 현대 전동화 플래그십 SUV 모델 아이오닉 9 양산에 돌입했다.
내년에는 기아 모델도 추가 생산 예정이며, 향후 제네시스 차량으로 생산 라인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혼류 생산 체제 도입을 통해 전기차뿐 아니라 하이브리드 차종도 내년에 추가 투입함으로써 미국 시장 소비자들의 다양한 친환경차 수요를 충족시킬 방침이다.


HMGMA 준공으로 현대차그룹은 미국 생산 100만 대 생산체제를 구축하게 됐다.
2005년 앨라배마주에 현대차 공장을 가동하며 현지 생산 도전장을 내민 지 20년 만에 이룬 성과다.
추가로 2028년까지 총 86억달러를 투자해 20만대를 증설, 120만대 규모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HMGMA 전체 부지 면적은 1176만㎡(약 355만 평)로 여의도 약 4배에 해당한다.
부지 내 '프레스-차체-도장-의장'으로 이어지는 완성차 생산 공장과 차량 핵심부품 계열사 및 배터리셀 합작 공장도 들어섰다.
HMGMA에 부품을 공급하는 인근의 국내 협력사까지 연계 '첨단 미래차 클러스터'를 형성했다.


계열사인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현대제철, 현대트랜시스 등도 부지 내에서 공장을 운영한다.
현대모비스는 연간 30만대 배터리 시스템 및 부품 모듈을 생산 공급한다.
현대모비스 해외 생산거점 가운데 최대 규모다.


현대글로비스는 부지 내 통합물류센터와 출고 전 완성차 관리센터를 운영한다.
자율 비행 드론이 부품 재고 현황을 실시간 파악하고 수요 기반 데이터를 통해 부품 수량을 예측, 적기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


현대제철은 부지 내 조지아 스틸 서비스 센터에서 초고강도강 소재의 자동차용 강판을 가공해 공급한다.
현재 연간 자동차 20만대분의 공급이 가능하며, 향후 40만 대분까지 공급 능력을 확충할 계획이다.
현대트랜시스는 자동차 주요 부품인 시트와 이를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을 연간 42만대 조달한다.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셀 공장도 내년 완공을 목표로 부지 내 건설 중이다.
연산 30GWh 규모로 약 36만대의 아이오닉 5에 배터리 공급이 가능한 규모다.


이외에도 HMGMA는 국내 부품업체의 미국 진출 및 판매 확대를 견인, 협력사 글로벌 진출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조지아주 기아 공장과 약 420km, 앨라배마주 현대차 공장과도 약 510km 떨어진 거리에 인접해 있어, 부품업체들의 안정적 공급처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HMGMA를 계기로 17개 협력사가 조지아주에 신규 혹은 추가 진출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첨부파일
  • newhub_2025032706290285437_1743024542.jpg
  • newhub_2025032706293485438_1743024574.jpg
  • newhub_2025032706300585439_1743024605.jpg
  • newhub_2025032706301785440_1743024618.jpg
  • newhub_2025032706304185441_1743024642.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쎌쥙�ν걫占쎌뼔占쏙옙�용쐻�좑옙
HTML占쎌쥙�ο㎖猷잜맪�좑옙
雅�퍔瑗띰㎖�곗삕�⑨옙��뜝�뚯뒠占쏙옙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