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LF헤지스, '인도' 중산층 공략…"3년내 10개 매장 목표"

LF의 대표 브랜드 헤지스가 14억 인구 대국 인도 시장에 진출한다고 27일 밝혔다.
헤지스는 '고급 캐주얼’을 앞세워 인도의 프리미엄 패션 시장 공략하겠다는 포부다.


LF는 최근 인도 벵갈루루에 위치한 브랜드 투자회사 아시안브랜즈(AsianBrands Corp)와 전략적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인도 소비자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다양한 세일즈 유통 노하우를 보유한 현지 기업과 협력해 인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다.


이번 계약을 통해 LF는 올해 하반기 중 헤지스 단독 1호 매장을 오픈하고 3년 내 총 10여개 매장을 운영할 계획이다.
국내 토종 패션 브랜드로서 인도 시장에 단독 브랜드 매장을 여는 것인 헤지스가 처음이다.


1호 복합매장은 인도 중심 상권에 열 예정이다.
매장에는 남성, 여성, 골프, 액세서리 등 모든 카테고리가 포함되며 브랜드의 정체성을 압축한 공간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고급 품질과 프리미엄 디자인을 강점으로 하는 ‘아이코닉’ 컬렉션을 중심으로 제품을 선보일 방침이다.
매장 위치와 규모는 양사가 면밀히 논의 중이다.


이번 계약은 LF가 3년 전부터 인도 시장에 대한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수년간의 시장조사 끝에 이뤄낸 결실이다.
인도는 중산층의 클래식 패션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프리미엄 캐주얼 패션 시장이 커지고 있다.
폴로 랄프로렌, 라코스테, 타미힐피거 등 글로벌 브랜드들도 프리미엄 패션 시장을 공략 중이다.
글로벌 컨설팅그룹 매켄지의 '더 스테이트 오브 패션 2025'에 따르면 올해 인도의 비명품 시장 성장률은 12~17%로 미국, 유럽, 중국을 크게 앞설 것으로 예상된다.


헤지스는 프리미엄 전략으로 폴로 랄프로렌과 같은 글로벌 브랜드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겠다는 포부다.
현재 헤지스는 프리미엄 전략을 통해 해외 시장에서 높은 매출 신장률을 기록 중이다.
특히 ‘아이코닉’ 시리즈는 2022년 대비 2023년 해외 매출이 478% 성장했고, 2023년 대비 2024년에도 106%로 폭발적인 신장률을 나타냈다.
지난해
브랜드의 글로벌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약 15% 성장했다.
헤지스는 2007년 중국 시장 진출을 시작으로 2013년 대만, 2017년 베트남 시장에 진출했다.
중국에서는 530여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LF 관계자는 “한국을 대표하는 캐주얼 브랜드로서 글로벌 무대에서의 영향력을 계속해서 확대하고 있는 점은 매우 고무적인 성과”라며“향후 성장 잠재력이 큰 인도 시장에서의 첫 발돋움이 수년 내 성공적인 결실을 볼 수 있도록 전폭적인 투자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지 기자 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첨부파일
  • newhub_2025032708261785616_1743031578.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좎럥큔�얜��쇿뜝占�
HTML�좎럥梨룟퐲占�
亦껋꼶梨띰옙怨�돦占쎌슜��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