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호 한국과학기술원(KAIST)교수는 "고온초전도체·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도입한 혁신형 핵융합로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일 오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서 개최한 '민관협력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 포럼'에서는 최 교수를 비롯한 국내 핵융합 분야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 글로벌 핵융합에너지 확보 경쟁에서 앞서기 위한 다양한 과제들이 논의됐다.
최근 전 산업 인공지능(AI)·디지털화로 인한 에너지 수요 증가에 대응해 핵융합 주요국들은 민간기업과 협력을 바탕으로 전력실증을 2030∼2040년대로 앞당기는 도전적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핵융합 유망 기업들은 핵융합에너지 조기 상용화를 위해 소형화를 중심으로 한 소형토카막이나 레이저 등의 '혁신형 핵융합로'를 적극적으로 개발 중이다.

미국 등 7개국은 공동으로 개발 중인 국제핵융합로(ITER) 프로젝트를 통한 설계, 제작 및 운영 기술 등을 획득하는 전략과 함께 자체적으로 핵융합로의 소형화 등 혁신 전략을 병행 추진하고 있다.
이번 포럼에서는 혁신형 핵융합로의 개념과 필요성, 민관협력 전략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윤시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부원장은 '혁신형 핵융합로 도입에 따른 주요 파라미터 제안 및 단계별 추진 전략'을 통해 기존 토카막 방식의 핵융합장치보다 작지만, 성능이 뛰어난 '한국형 혁신 핵융합로'를 제안하면서 혁신형 핵융합로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단계별 추진 전략을 제시하고, "공공과 민간의 협력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패널토론에서는 산·학·연 전문가들이 혁신형 핵융합로의 도입 타당성, 핵융합 산업 생태계 조성, 민간 기업의 참여 확대 방안, 연구·개발(R&D) 투자 활성화 전략 등을 논의하며, 핵융합 기술의 실질적인 상용화 가능성을 모색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제는 핵융합에너지 상용화에 대비한 도전적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면서 "이번 포럼을 계기로 혁신형 핵융합로 개발을 촉진하고, 산·학·연 협력을 강화해 글로벌 핵융합 실증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