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홈플러스 노조 "점포 매각·구조조정 없는 회생계획 수립해야"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한지 한 달을 앞둔 홈플러스가 오는 6월12일까지 법원에 회생 계획서를 제출할 예정인 가운데, 정치권과 회사 구성원들은 "점포 매각이나 구조조정 등 노동자의 생존을 위협하는 방안이 담겨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마트산업노동조합은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이용우 의원과 공동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사실상 청산을 전제로 회생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강 의원은 "MBK의 회생 신청은 노동자는 안중에도 없는 자본논리의 폭력"이라며 "고용보장은 일부 직영직원에게만 해당되고, 협력업체 노동자와 입점 상인은 투명인간 취급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도 "MBK가 홈플러스를 차입금으로 인수한 뒤 실적 개선보다 자산 매각을 통한 이익 회수에 집중해 왔다"며 "16개 점포가 이미 폐점된 가운데 추가로 점포를 매각할 가능성이 있어 이번 회생은 사실상 청산으로 귀결될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마트노조는 MBK파트너스의 기습적인 기업회생 신청으로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고 있다고 호소했다.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안수용 지부장은 "매장 명단이 회생 계획서에 포함될까봐 불안해하는 직원들이 많다"며 "심지어 일부는 퇴직연금조차 확인할 수 없어 조기 퇴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현장의 고강도 노동과 인력 충원 부재로 인한 사직 사례도 늘고 있다"며 "노동자 생존권이 지켜져야 홈플러스도 살아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노조 측은 "MBK는 회생계획서에 점포 매각과 사업부 매각, 구조조정이 포함되지 않은 기업가치를 온전히 유지하는 회생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며 "노동자에게 생존을 위한 희생을 강요하지 말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날 금융감독원은 MBK가 회생절차 신청에 앞서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향을 사전에 인지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신청 과정에서 사측의 해명과 다른 정황이 발견돼 이를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홈플러스 노조도 이를 바탕으로 기습적인 회생신청이 계획된 청산이라고 의심하면서 MBK의 기업 운영과 회생 절차의 투명한 공개를 거듭 요구했다.


홈플러스 측은 "긴급한 기업회생 신청으로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피해를 입히고 국회와 정부에 걱정을 끼쳐드린 점 깊이 사과드린다"며 "현재 금융감독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조사와 검사에 성실히 응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신용등급 하락에 대한 인지 시점과 그에 따른 기업회생신청 경위는 회사에서 그동안 설명한 바와 같다"며 "이 부분에 대해서도 향후 금융감독원 조사와 검사 과정에서 성실히 답변하고 소명하겠다"고 덧붙였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첨부파일
  • newhub_2025040116214492711_1743492105.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