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데이터센터 사활 건 SKT "전기료 부담 덜까"…'분산특구' 지정이 관건

미래사업으로 인공지능(AI)데이터센터를 지목한 SK텔레콤이 산업통상자원부의 '분산 에너지 특화지역'(이하 분산특구) 지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SK텔레콤은 현재 울산광역시에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100메가와트(㎿)급의 AI데이터센터를 지으려고 준비 중이다.
울산이 분산특구로 지정돼야 AI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전력을 싼값에 원활하게 수급받는 길이 열려, SK텔레콤의 AI데이터센터 사업도 순항할 수 있다.
분산특구란 지역 발전사들이 지역 내에서 전력을 직접 판매할 수 있는 곳을 말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AI데이터센터 부지로 울산 남구에 있는 SK에너지 울산공장 주변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AI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으로선 울산이 분산특구로 지정될지가 가장 큰 관심거리"라며 "AI데이터센터가 순조롭게 운영되려면 대용량 전력을 낮은 가격에, 안정적으로 공급받아야 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AI데이터센터는 24시간 서버를 가동할 뿐 아니라 내부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해 전력 소비가 커 '전기 먹는 하마'로도 불린다.
특히 100메가와트(㎿)급 AI데이터센터는 AWS·구글·마이크로소프트(MS) 같은 미국 빅테크가 주로 세우는 '하이퍼스케일' 등급으로 분류된다.



산업부는 8일부터 오는 15일까지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분산특구 신청을 받는다.
분산특구 내에서는 발전소로부터 가까운 곳에서 전기를 쓰게 돼 전기요금이 약 1.2%포인트 줄어든다.
산업부는 분산특구 지역에 추가로 전기요금을 할인해 주는 안도 검토 중이다.
울산은 일찌감치 분산특구 신청 채비를 마쳤다.
이외에도 부산·제주 등이 뛰어들 것으로 알려졌다.


분산특구는 올해 상반기 중 실무 평가위원회를 거쳐 하반기께 에너지위원회에서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AI데이터센터가 수도권에 밀집해 있다.
전력 수요가 큰 대형 AI데이터센터는 전력 여유가 있는 지방 발전소 옆으로 들어서도록 유도하는 것"이라며 "지방에서 자체적으로 전력 수요와 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분산특구의 취지"라고 했다.



테크 업계 일각에서는 AI투자가 국가적 과제인 만큼 AI데이터센터를 지으려는 기업들이 어디서든 전력을 저렴한 가격에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모든 지자체가 분산특구가 될 수는 없을 것"이라며 "분산특구가 아닌 지역에 AI데이터센터를 지어야 하는 일부 기업들은 결국 비싼 가격에 전력을 써야 할 처지"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처럼 특구를 지정하는 식으로 기업들에 불안감을 주지 말고 어느 지역에서든 거기서 생산된 에너지는 그 지역에서 사업을 하는 기업들이 값싸게 소비할 수 있도록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을 바꿔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4102516132974037_1729840408.png
  • newhub_2025031010595061179_1741571990.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