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바이러스의 끊임없는 변이로 기존 진단 기술의 한계가 드러나는 가운데 포스텍(포항공대)·아산병원 공동연구팀이 협력해 모든 주요 바이러스 변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혁신적인 진단 센서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오승수(사진) 교수, 우성욱(사진) 교수, 이민종(사진) 박사팀과 아산병원 김성한 교수 연구팀이 함께 진행했다.
![]() |
서울 시내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들이 코로나19 검사를 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
하지만 바이러스는 계속해서 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기존 진단법으로는 새로운 변이를 제때 감지할 수 없다.
기존 진단 기술은 바이러스 특정 부위를 인식하는 항체를 주로 활용하는데, 바이러스가 변이하면 이 항체가 더 이상 바이러스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새로운 변이가 나타날 때마다 새로운 진단 방법이 필요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바이러스의 약점에 주목했다.
![]() |
우성욱 교수 |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ACE2 수용체를 모방한 분자 인식 물질을 개발하고, 이 물질을 간편하고 휴대하기 쉬운 전기화학센서에 접목했다.
이 센서의 큰 장점 중 하나는 사용 편의성이다.
기존 PCR 검사나 신속 항원 검사 키트는 바이러스를 분해하는 복잡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했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는 환자의 침(타액)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현장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연구팀은 분자 인식 물질을 전극에 붙일 때 피라미드 모양의 DNA 나노구조체를 활용함으로써 센서의 정확도를 더욱 높였다.
바이러스를 잡을 그물망을 가장 효율적인 형태로 만든 셈이다.
아산병원 감염병관리센터와 함께 실제 코로나19 환자의 침으로 진단시험을 진행한 결과, 연구팀의 센서는 오미크론을 포함한 지금까지의 주요 코로나바이러스 변이들을 매우 정확하게 감지했다.
독감 등 다른 바이러스와도 확실히 구별돼 오진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오승수 교수 |
![]() |
이민종 박사 |
한편 이 연구는 분석화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바이오센서스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포항=이영균 기자 lyg0203@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