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산업AI 전략(M.A.P, Manufacturing AI Policy)' 세미나를 열고 산업 인공지능(AI)의 활용 사례와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이날 기조발표에 나선 장영재 카이스트 교수는 "최근 미국 대형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제조업으로 영역을 확대하는 것은 한국에 위협이 될 수 있다"며 "우리도 AI 기반의 제조전략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물류자동화업체 다임리서치 사례를 들어 "AI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해 사람이 직접 조작하던 공정에 가상 시스템이 실물 로봇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전환한 결과, 공장 투자비가 30% 줄었다"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이날 세미나에서 '산업AI 확산 10대 과제'를 바탕으로 올해 정책 방향을 소개했다.
산업부는 산업 현장 중심의 특화형 AI 모델과 산업AI 에이전트 구축을 통해 지능화·자율화를 촉진하고, 이를 위해 데이터 활용 체계 구축, 인재 양성, 기업 간 협업 생태계 조성 등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산업AI는 일반 목적형 AI와 달리 생산현장의 구체적 문제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며 "창의적 응용과 최적화에 강한 국내 산업의 특성을 살려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기업 측 발표도 이어졌다.
DN솔루션즈 엄재홍 상무는 "기계장비 산업에서 AI 적용 효과는 상호 운용성에 달려 있다"며 "국가 주도로 표준화와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산업계 참여와 확산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AI 활용 범위를 무분별하게 넓히기보다는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며 제조AI가 그 중심이 될 것"이라며 "중국이 딥시크 등 자체 기술을 바탕으로 제조업에 AI를 접목하고 있는 만큼, 한국도 민관이 함께 산업AI 확산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