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中선박 입항수수료 때린 美…K조선 수혜 기대감

미국 정부가 중국 해운사와 중국산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 부과를 결정하면서 우리 조선업계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선주들이 중국 선박 발주를 취소하거나 신규 선박 발주에서 중국을 배제할 가능성이 커지면서다.
다만 해운업계는 입항 수수료 부과로 전반적인 해운 운임 상승이 예상되는 데다, 보유하고 있는 중국 선박 운송길을 재편해야 해 난감해하는 분위기다.


17일 국내 조선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대(對)중국 입항 수수료 부과로 국내 조선사가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선주와 선사들은 거래처를 쉽게 바꾸지 않는다는 보수적인 특성이 있어 당장 눈에 띄는 변화를 체감하기는 어려워도, 장기적 관점에서 중국 조선사를 피할 유인이 생겼기 때문이다.
앞서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오는 10월 14일부터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달 미국에서 중국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 부과 정책이 검토되던 때 미국 기업이 중국 선박 발주를 취소한 사례도 있었다.
미국 엑슨모빌은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 예정이던 액화 천연가스 벙커링선(LNGBV) 신조 계약을 보류했다.
한 국내 조선사 관계자는 "선박 교체 수요 발생시 중국에는 발주하지 못하는 상황이 올 것"이라며 "정책 변동 가능성도 있지만 일단 주문을 일부 보류하거나 한국이나 일본으로 돌릴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한국은 최근 글로벌 선박 수주량 회복세에 접어든 상태다.
영국 조선·해운 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가 집계한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150만CGT(58척)인데, 이 중 한국은 55%인 82만CGT를 수주해 1위를 차지했다.
박진호 한국 국방부 정책자문위원은 지난 14일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퍼시픽포럼의 기관지 '펙네트'에 한국과 미국이 조선 분야에서 협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반면 국내 해운업계는 다소 난감해하는 분위기다.
한국 해운사들은 유럽 대비 중국산 선박 운영 규모가 작은 편이지만, 수수료가 추가로 발생하면서 전반적인 운임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운임 상승은 화주들 입장에서 부담"이라며 "관세와 더불어 장벽이 하나 더 생기는 것이라 수익성이 악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산 선박을 보유한 업체들은 경로 변경 등을 통해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팬오션 관계자는 "벌크선은 중국산 비중이 좀 있지만, 미국에 들어가는 물량이 많지는 않다"며 "최대한 한국산이나 비중국산 배를 활용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현대차를 주로 운반하는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자동차 운반선은 중국뿐 아니라 외국에서 건조한 모든 자동차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 때문에 모든 자동차 운반 선사들이 같은 조건"이라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3112415341165817_1700807651.jpg
  • newhub_2025040411164597667_1743733005.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