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국산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상용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올해 하반기 'K-클라우드 사업단'을 출범시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발표한 '국가 AI역량 강화방안 후속조치'에서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 기반 대규모 데이터센터 실증 사업을 맡을 사업단을 구성한다고 밝혔다.
목표는 실제 환경에 적합한 국산 칩 성능을 시험하고 조기확산을 도모하는 데 있다.
사업단은 1조8000억원 규모의 AI 추경안 제출을 계기로 꾸려진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과거에는 데이터센터 내 소규모 서버 단위 실증에 그쳤지만, 앞으로는 클러스터 단위로 최신 거대언어모델(LLM)을 직접 구동해 보는 환경을 만들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국산칩이 대규모 AI 서비스에 투입되는 시점을 앞당길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이번 추경을 통해 AI 반도체 실증사업 예산을 298억원에서 752억원으로 대폭 증액했다.
또한 '한국형 챗GPT' 개발 사업으로 알려진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에 쓰일 민간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임차와 데이터 활용을 위해 1936억원을 투입한다.
연내 1만장 확보를 목표하고 있는 GPU는 국가 AI컴퓨팅센터 조기 가동에 활용된다.
이외에도 비수도권 AI 데이터센터 우대 평가, 고급 인재 유치 같은 AI 생태계 전반에 대한 후속 조치도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