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국립국악원 원장 임명과 관련해 "아직 결정 난 사안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국립국악원장은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차관보)에 해당하는 자리로 지난해 6월 김영운 전 원장이 퇴임한 뒤 10개월째 공석이다.
최근 진행된 공모 절차가 거의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문체부의 실장급 고위직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국악계에서는 국립국악원 원장은 전통예술에 대한 식견에 갖춘 전문가가 임명돼야 한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실제 그동안 국립국악원 원장은 국악계 인사들이 맡았다.
유 장관은 19일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문체부 고위직 내정설과 관련한 지적에 "국악원장 임명은 문체부가 하는 것이 아니고 대통령 결재 자리"라며 "아직 결정 난 사안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유 장관은 국악계 반발에 관해 "그런 주장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적당한 사람이 임명되도록 나름대로 (인사) 과정을 공정하게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6월 김영운 전 원장이 퇴임한 직후 국립국악원장 공모가 한 차례 진행됐다.
당시 대학교 교수인 국악계 인사 두 명이 최종 후보에 올랐으나 적격자 없음으로 결론나 최종적으로 원장이 임명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 국악계 한 인사는 당시 후보에 올랐던 두 명이 모두 국악원장 직에 어울리는 훌륭한 분이었는데 당시 임명도 하지 않았고 이렇다할 설명도 없없다고 꼬집었다.
이후 최근 재공모가 진행됐고 문체부 고위직 내정설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었다.
게다가 재공모를 앞둔 지난해 12월 대통령령 개정으로 국립국악원장 자리가 공무원도 지원 가능한 개방형 직제로 변경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악계가 강하게 반발했다.
국악계는 이달 초 비상대책협의회를 꾸리고 연일 성명을 내고 있다.
한국국악학회, 한국국악교육학회,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판소리학회, 한국민요학회는 19일 학회장 명의로 발표한 성명에서 "국립국악원 원장은 전통예술 전반에 깊이 있는 전문성을 갖춘 인사가 임명돼야 한다"며 "전통예술에 문외한인 행정직 공무원의 국립국악원 원장 선임을 적극 반대한다"고 밝혔다.
전날에는 국립국악원 4개 국악연주단 전ㆍ현직 예술감독 27명이 성명을 내고 "문체부가 국립국악원장에 국악 전문성과 무관한 행정직 고위공무원으로 임명하려 하고 있다"며 "전현직 국악연주단 예술감독 일동은 강력한 반대 의사를 밝힌다"고 주장했다.
지난 7일에는 국립국악원 전 원장과 연구실장들이 성명을 내고 "우리 전통문화와 공연예술의 발전을 위해 국립국악원 원장 직위 문체부 고위 공무원 내정은 반드시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