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문화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쾌락·고통 동반하는 ‘에로스’의 개념 탐구

에로스, 달콤씁쓸한/ 앤 카슨/ 황유원 옮김/ 난다/ 2만2000원

노벨문학상 후보로 해마다 거론되는 캐나다 시인·번역가·고전학자인 앤 카슨(1950∼)의 초기 저술이자, 학문적 작업과 창작 행위를 뒤섞는 그의 문학세계를 예고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는 에세이 ‘에로스, 달콤씁쓸한(Eros the Bittersweet)’이 마침내 번역됐다.
1986년 발간된 이 책에서 카슨은 최초로 에로스를 달콤씁쓸한 것이라고 부른 고대 그리스 여성시인 사포(BC 600?∼?)를 언급하며 ‘에로스’ 개념을 탐구한다.

카슨은 에로스를 “‘필요’ ‘결핍’ ‘없어진 것에 대한 욕망’”(25쪽)으로 설명한다.
에로스적 욕망은 언제나 여기 없는 그것을 향해 손을 뻗는 행위를 수반한다.
에로스는 늘 명사가 아닌 동사처럼 군다.
그 근본적 구성 요소는 결핍이다.
동시에 발생하는 쾌락과 고통이 바로 에로스의 증상이다.
앤 카슨/ 황유원 옮김/ 난다/ 2만2000원
그는 사포를 비롯한 그리스 서정시와 플라톤, 카프카·몽테뉴·톨스토이 등 일일이 거론하는 게 무의미할 만큼 수많은 작가와 사상가의 문학작품과 사료, 문헌을 경유해 탐구를 이어나간다.
기실, 책에 실린 35개 장 모두가 욕망의 대상을 향해 끊임없이 손을 뻗는 동사의 몸짓을 하고 있다.

카슨의 1981년 고전문학 박사학위 논문을 개작한 학술적 저작인 탓에 읽어내기는 수월하지 않다.
그러나 시인이자 번역가인 황유원의 섬세한 번역이 길잡이 노릇을 한다.
이규희 기자 lkh@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