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국민소득 540배 올랐지만 체감소득 줄어 '살림팍팍'
아시아경제 기사제공: 2024-12-18 08:00:10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국민들의 체감소득은 갈수록 약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민계정 2020년 기준년 2차 개편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1인당 GNI, 미달러 기준)은 1953년 67달러에서 작년 3만6194달러로 540배 증가했다.
연평균으로는 9.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경제규모(명목GDP)도 477억원에서 2401조로 연평균 16.7% 증가했다.


반면 우리나라의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지난해 기준 1만9498달러로 1975년 482달러에서 연평균 8.0% 증가하는데 그쳤다.
PGDI는 가계소득에서 세금이나 보험료 등을 뺀 처분가능소득(구매력)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다.
가계가 소비와 저축을 위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한다.
GNI에는 가계뿐 아니라 기업이나 정부의 소득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PGDI가 가계의 구매력을 더 정확하게 나타낸다.


우리나라의 1인당 GNI 대비 PGDI 비율은 통계작성을 시작한 1975년에는 77.5%에 달했지만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며 작년에는 역대 최저인 53.9%를 기록했다.
나라 경제가 커지는 속도를 가계의 체감소득이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1954년부터 작년까지 우리나라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실질GDP 성장률)은 6.9%인 반면 실질GDI 및 실질GNI의 연평균 증가율도 각각 6.6%로 실질소득 증가율이 경제성장률을 하회했다.
1976년부터 작년까지 실질PGDI 연평균 증가율도 5.0%로 실질GNI 증가율인 6.0%를 하회했다.


한은 관계자는 "실질GDI 증가율은 1980년대에는 유가 안정 등에 따른 교역조건개선에 힘입어 실질GDP 성장률을 상회했지만 1990년대 이후 정보통신기술(ICT) 제품의 수출가격 하락 등으로 교역조건이 악화하면서 실질GDP 성장률을 대체로 하회했다"고 밝혔다.


최종소득에서 최종소비지출을 제외한 나머지를 뜻하는 총저축률도 가계를 중심으로 낮아지는 추세다.
우리나라의 총저축률은 1988년에 41.8%까지 빠르게 상승했다가 이후 점차 낮아져 2023년에는 33.5%에 그쳤다.
기업부문은 1975년 8.5%에서 작년 23.4%로 꾸준히 상승했지만 같은 기간 가계는 8.1%에서 5.5%로 오히려 하락했다.
가계의 저축여력이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총저축에서 세금과 소비 등을 제외하고 순수하게 저축할 수 있는 액수를 의미하는 가계순저축률도 1988년 23.3%에서 꾸준히 낮아져 작년에는 4.0%에 그쳤다.
한은은 "과거에는 가계소득의 증가율이 가계소비 증가율을 상회했지만 현재는 이런 추세가 둔화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