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차 에너지 기술개발계획 확정 HVDC 확대 등 추진… “경제효과 59조” 이산화탄소 산업 특수분류체계 도입
정부가 향후 10년간 재생에너지와 원자력발전, 청정수소 등 무탄소 에너지 기술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에서 중장기 에너지 연구개발(R&D) 투자전략을 담은 ‘제5차 에너지 기술개발계획’을 확정했다.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은 정부가 5년마다 10년 단위로 짜는 에너지기술 R&D 청사진으로, 이번 5차 계획은 올해부터 2033년까지의 방향을 담았다. 5차 계획은 재생에너지뿐 아니라 원전, 청정수소 등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무탄소 에너지 기술 확보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기로 정했다. 소형모듈형원자로(SMR), 대용량 청정수소 생산 시스템 개발, 암모니아 고혼소 기술 등 에너지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내 에너지 산업의 수출도 도모할 방침이다. |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뉴시스 |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많은 분야에서 전기화가 이뤄지면서 전력사용량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우리나라 전력망은 기존의 대형 발전소 위주로 짜여 재생에너지 등 발전설비가 분산화될수록 안정성이 떨어진다. 정부는 고압직류송전기술(HVDC) 대용량화, 교류(AC)·직류(DC) 혼용 배전망,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다각화 등 송·배전망의 강건성, 유연성을 제고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에너지 수요 관점에서는 설비 효율을 높이고 업종·건물별 사용량을 최적화하는 등 전력 수요를 조절하고 배터리 위주로 형성된 수송 분야 연료전환을 수소 등으로 넓힌다. 산업부는 5차 계획 기간 동안 경제적 파급 효과가 59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에너지 기술 자립화율도 2033년이면 90%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는 별도 산업코드가 없었던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특수분류체계도 이날 신설했다. 포집, 처리, 수송, 저장 등으로 업종을 구분해 각 기업이 해당 코드에 맞춰 등록하게 된다. 한편 정부는 나무, 하수찌꺼기 등을 연소하며 에너지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발생이 많은 바이오매스는 지원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기로 결정했다. 박유빈 기자 yb@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