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 금융시장은 계엄령 발동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안 가결 등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과거 대통령 탄핵 사례와 비교해 보면 현재 증시 충격은 예상보다 크지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국내 증시가 단기적 변동성을 보일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회복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탄핵 정국 이후 한국 증시는 예상 가능한 수준의 충격을 겪었다. 탄핵 소추안 가결 직후 첫 거래일에는 상승 출발했으나, 장 마감 시에는 하락 전환되었고 그 이후에도 약세가 이어졌다. 하지만 탄핵 정국이 장기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과 한국 경제의 기초 체력에 대한 신뢰가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12월 초부터 정부와 한국은행이 시장 안정을 위한 신속한 대책을 발표하면서, 증시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당시 금융시장은 초기 충격을 받았으나, 헌법재판소의 탄핵 소추안 기각 이후 회복 국면에 들어섰다. 또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는 시장 충격이 크지 않았고, 오히려 파면 이후 증시가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당시 글로벌 경제 상황, 특히 반도체 슈퍼사이클과 같은 긍정적 요인들이 시장을 뒷받침했기 때문이다.
이번 탄핵 정국에서 한국 증시가 직면한 주요 변수는 글로벌 경제 흐름이다. 전문가들은 한국 증시가 과거와 달리 현재 여러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평가한다. 더불어 원달러 환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를 떠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악재에도 불구하고 증권업계는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국내 주요 증권사들은 한국 증시가 연말까지 코스피 2600선 회복을 시도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반도체, 자동차, 방산과 같은 업종은 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은 유망 산업으로 꼽히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물론 일부 전문가들은 시장이 여전히 박스권에서 머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글로벌 경기 흐름에 따른 영향을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환율과 금리 같은 시장지표 외에도 미국의 금리 정책, 중국의 경기 부양책 등의 외부요인도 증시 방향성을 결정할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특히 미국의 금리인하 속도를 예의주시해야 하며, 중국 정부의 내년 5% 성장 선언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내수가 여전히 부진한 점은 체크해야 한다.
김필수 경제금융매니징에디터 pilsoo@asiae.co.kr 이선애 기자 lsa@asiae.co.kr 박수민 기자 soop@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