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가 넉 달 만에 상승 전환됐다. 농림수산품 가격이 내려갔지만 10월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공산품 가격이 오른 영향이다. 생산자물가지수와 수입물가지수를 결합한 국내공급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달 원·달러 환율 상승 영향으로 7개월 만에 최고치를 보였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보다 0.1% 상승한 119.11로 집계됐다. 지난 8월부터 이어지던 하락세가 4개월 만에 상승 전환됐다. 지난해 11월보다는 1.4% 오르면서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 16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세부적으로 보면 농림수산품이 농산물(-5.1%)과 축산물(-2.8%)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월 대비 3.6% 하락했다. 품목별로는 배추(-42.3%)와 상추(-64.1%), 돼지고기(-4.1%)와 쇠고기(-5.8%) 가격이 크게 떨어졌다. 반면 굴(23.7%), 냉동오징어(4.2%) 등 수산물은 3.9% 상승했다. 공산품은 지난달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탄 및 석유제품(1.6%), 음식료품(0.3%)이 오르면서 전월 대비 0.1%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산업용전력(7.5%)과 증기(0.1%)가 오르면서 전월 대비 2.3% 상승했다. 서비스는 금융 및 보험서비스(-1.0%) 및 운송서비스(-0.1%) 등이 내리며 전월 대비 0.1% 하락했다. 11월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6% 올랐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지난 4월(1.0%) 이후 7개월 만에 최고치다. 원재료(1.8%)와 중간재(0.6%), 최종재(0.1%) 가격이 모두 올랐다. 국내 출하 외에 수출을 포함하는 총산출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6% 상승했다. 농림수산품(-3.4%)이 내렸으나 공산품(0.9%)이 오르면서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환율 상승과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11월 통관시점 기준 수입물가가 올랐다"며 "국내공급물가는 생산자물가와 수입물가를 결합해 산출하기 때문에 이달 생산자물가 상승률을 큰 폭으로 상회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큰 폭으로 오른 원·달러 환율의 상승은 향후 시차를 두고 생산자물가에 반영될 전망이다. 이 팀장은 "원화 기준 수입 물가에 반영되면서 시차를 두고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 등 국내 물가에 반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상승 분이 물가에 반영되는 시기는 품목 별로 통관 시차 등에 따라 다르다"면서 "생산 과정에서도 원재료·중간재 등 수입 물가 상승 분이 판매 가격에 언제, 얼마나 반영할 것인지에 따라 시기와 폭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장선아 기자 sunrise@aju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