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클릭 e종목]"4Q 실적 핵심은 수출 비중과 고객다변화"
아시아경제 기사제공: 2025-01-13 08:31:38

메리츠증권은 4분기 실적의 핵심 포인트는 수출 비중과 고객 다변화라고 분석했다.


4분기 실적 시즌이다.
투자자들은 4분기 실적을 보고 각 기업의 2025년 실적 개선 폭과 실적 가시성을 가늠할 것이다.
4분기 실적은 12월 들어서면서 양상이 급작스럽게 바뀌었다.
계엄선포와 탄핵으로 이어지는 정국 불안으로 12월 소비심리가 11월 100.7에서 12월 88.4로 급락했기 때문이다.
올리브영과 다이소 등 주요 화장품 오프라인 업체들의 재고관리가 엄격해졌고, 보유 재고를 줄이면서 향후 소비 부진 가능성에 대비하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몇몇 브랜드 업체들의 12월 매출이 꽤 타격을 받은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해외 수출은 여전히 좋은 상황이다.
4분기 화장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했으며, 이는 2024년 전 분기를 통틀어 가장 높은 수치다.
K-뷰티 글로벌 모멘텀의 둔화를 불식시키는 숫자인데, 일본과 미국에 이어 유럽과 중동 등지로 수출 지역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환율 상승으로 수출 증대 효과, 즉 매출과 마진 개선 효과는 더 커졌다.



결국 이번 4분기 화장품 업체들 실적은 내수와 수출 지표의 확연한 엇갈림과 연동할 가능성이 크다.
크게 세 가지 기준으로 실적 차별화가 예상된다.
첫째 내수 매출 비중이 높은 업체들의 실적은 보수적으로 보는 게 바람직하다.
이들 업체가 어떻게 내수 부진을 타개하면서 실적을 버텼는지 눈여겨봐야 한다.
둘째 밸류체인별로 보면 브랜드 업체들이 가장 타격이 컸을 것이다.
특히 브랜드 로열티가 낮은 중저가 매출 비중이 높은 업체들일수록 애초 기대보다 부진했을 가능성이 크다.
부자재나 ODM 업체들은 일시적으로 수주가 다소 떨어지더라도 이연된 물량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12월 수주 저하를 별 탈 없이 지날 수 있었다.
물론 이런 소비심리 저하와 내수 부진이 계속 이어진다면 1분기에는 부자재·ODM 업체들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것이다.
셋째 ODM·부자재 업체들 내에서는 대형고객사 집중도가 높은 업체들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일부 대형 고객사의 실적과 발주 변동에 전체 실적이 좌우된다는 것은 실적 가시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박종대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시장기대치를 넘어서는 실적이 예상되는 업체는 코스맥스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콜마와 실리콘투, 펌텍코리아, 씨앤씨인터내셔널이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실적이 예상되나, 씨앤씨인터내셔널은 감익이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고 봤다.
아이패밀리에스씨와 브이티는 커버리지 증권사가 별로 없기 때문에 컨센서스에 큰 의미가 없다고 봤다.
가장 부진한 업체는 클리오라고 평가했다.
펌텍코리아는 이미 적정 주가에 도달했고, 코스맥스와 실리콘투가 주가 모멘텀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