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1위 품목인 '김'이 지난해 1조원의 판매고를 올리며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또 우리 수산물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일본, 미국 순으로 조사됐다.
1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수산식품 수출 총액이 전년 대비 1.2% 증가한 30억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효자 품목인 '김'이 수출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김의 수출액은 9억9700만 달러(1조3000억원)로 2년 연속 1조원을 달성했다. 수출 2위 품목인 참치는 5억89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7% 증가했다. 지난해 수산식품 주요 수출 국가는 일본(6억5900만 달러), 미국(4억7900만 달러) 등으로 유럽 지역 수출액은 전년 디배 16.4% 증가한 2억2700만원을 기록했다. 해수부는 2024년 우수 수출기업의 경영 안정을 위해 원료 구매, 제품 저장, 가공 등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했다. 지난해 투입된 우수수산물 지원 예산은 1324억원에 달한다. 또 기업 단계별로 역량 강화에 필요한 자금을 연 최대 2억2000만원까지 지원했다. 올해는 '비관세장벽 플랫폼'을 5월부터 운영해 우리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 또 지난해 11월 프랑스에서 개소한 무역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수산식품 수출기업들의 유럽 시장 진출과 시장 다변화에도 힘을 쏟는다. 스페인·프랑스 등 유럽지역 박람회 참여를 지난해 3회에서 올해 6회로, 관계부처 합동 K-박람회도 1회에서 3회로 확대할 예정이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작년 한 해의 수출 실적은 글로벌 경기 침체와 국제분쟁 지속, 기후변화로 인한 수산물 수급 변동성 등 불확실한 통상 여건에도 대한민국 수산식품 수출을 위해 업계에서 다방면으로 노력하신 덕분"이라며 "올 한 해에는 김, 참치 외에도 굴, 전복 등 품목을 수출 상품으로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유럽 등지로의 시장 저변 확대를 지원해 K-Seafood 수출산업 성장을 적극적으로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산물 수출 30억 달러 돌파…김 2년 연속 1조원 기록
2024년 국내 수산물 수출액 현황. [사진=해양수산부]수출 1위 품목인 '김'이 지난해 1조원의 판매고를 올리며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또 우리 수산물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일본, 미국 순으로 조사됐다. 1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수산식품 수출 총액이 전년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