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지난해 4분기 GDP 성장률 0.1%…예상치 하회(상보)
아시아경제 기사제공: 2025-01-23 08:01:00

비상계엄 충격으로 한국경제가 지난해 4분기 0.1% 성장했다.
투자가 둔화하고 민간소비가 위축된 영향이다.
연간 성장률은 2.0%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이 전 분기 대비 0.2% 상승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1.2% 증가다.


우리나라 경제는 지난해 1분기 1.3% '깜짝' 성장세를 보이며, 2023년부터 5분기 연속 성장세를 이어가다 지난해 2분기(-0.2%) 마이너스로 전환했고, 3분기에는 0.1%로 회복세를 보였다.


당초 한은은 지난해 11월 전망치를 내놓으며 4분기 0.5%로, 성장 확대를 예상했다.
하지만 이후 비상계엄과 그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지난 20일 "4분기 성장률은 당초 예상을 크게 하회하는 0.2%나 이보다 소폭 밑돌 가능성이 있다"며 수정 전망했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민간·정부소비, 설비투자 모두 증가율이 축소했다.
건설투자는 3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민간소비는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와 의료·교육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2%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사회보장현물수혜를 중심으로 0.5% 늘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3.2%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기계류를 중심으로 1.6% 증가했다.


수출은 반도체 등 IT 품목을 중심으로 0.3% 늘어난 반면 수입은 자동차·원유 등이 줄어 0.1% 줄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농림어업은 재배업을 중심으로 3.9% 감소했다.
제조업은 금속가공제품 등이 줄었으나 화학물질
·화학제품, 컴퓨터, ·전자·광학기기 등이 늘어 0.1%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업은 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등을 중심으로 2.9% 감소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3.5% 줄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등이 줄었으나 금융 및 보험업, 의료,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이 늘어 0.3% 증가했다.


작년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 분기 대비 0.6% 증가해 GDP 성장률을 상회했다.


지난해 연간 GDP 성장률은 2.0%로 집계됐다.
한은의 지난해 11월 전망치는 2.2%다.
정부소비, 설비투자, 수출은 증가폭이 확대됐으나 민간소비가 둔화하고 건설투자는 감소 전환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은 증가폭이 확대됐지만, 서비스업은 증가폭이 줄었고 건설업은 감소 전환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년보다 3.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교역조건이 전년 대비 개선되면서 실질 GDP 성장률(2.0%)을 상회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