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현대제철, 전 직원 대상 '희망퇴직' 검토…비상경영체제 돌입


美 철강 관세, 수입산 철강재 시장 잠식 등 국내외 위기에 노조 리스크 겹쳐

현대제철이 14일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현대제철 울산2공장 전경. /현대제철
현대제철이 14일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현대제철 울산2공장 전경. /현대제철

[더팩트ㅣ허주열 기자] 최근 국내외에서 악재가 겹치며,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현대제철이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한다. 전 임원들의 급여를 20% 삭감하며,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 방안도 검토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수입산 철강재의 시장 잠식, 노조 리스크가 겹친 심각한 위기 상황에서 강도 높은 자구책 없이는 경영 개선이 쉽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특단의 조치다.

현대제철은 14일 △모든 임원 급여 20% 삭감 △해외 출장 최소화 △전 직원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 방안 검토 등 다방면으로 극한의 원가절감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대제철은 국내 건설경기 악화에 따라 최근 포항 2공장 가동을 축소하고, 오늘까지 포항공장 기술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과 당진제철소 및 인천공장 전환 배치를 신청받고 있다.
이에 더해 최근 중국과 일본의 저가 철강재가 국내 시장 점유율을 잠식하고 있어, 후판과 열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소를 진행하는 등 생존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이 가운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2일부로 한국 철강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해 국내 철강사들의 수출 경쟁력은 급격히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현대제철은 지난해 9월부터 이어진 노조와의 임금 협상에서도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해 기준 당기순손실 650억원의 경영 실적 악화를 감수하고, 1인당 평균 2650만원(450%+1000만원) 수준의 성과금 지급안을 사측이 제시했으나, 노조는 이를 거부하고 추가 성과금을 요구하며 파업을 이어왔다.

현대제철 노사는 전날 교섭을 재개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협상이 결렬, 노사 갈등은 더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sense83@tf.co.kr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