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투기세력 단속·주택공급…서울시, '주택시장 안정화' 투트랙 가동

서울시가 부동산 투기 세력 단속을 강화하고 내년까지 신축 아파트 7만여가구를 공급해 주택시장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서울시는 지난주부터 강남 3구를 비롯한 마포, 용산, 성동구 등 주요 지역에 시·자치구 합동 현장점검반을 투입해 불법행위 단속에 나섰다고 14일 밝혔다.


해당 지역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집값 상승 조짐을 보이는 곳이다.
시는 주택시장의 투기와 교란 수요 유입을 막기 위해 이같은 조치를 내렸다.


불법행위에 적발될 경우 수사를 의뢰하고 국세청에 통보해 강력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현재 시는 일 단위로 거래와 가격 동향을 파악하는 등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아울러 차질 없는 주택공급으로 주택시장 안정을 도모한다.
시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서울 전역의 아파트 입주 물량을 7만1000가구로 전망하고 있다.
올해와 내년의 공급물량은 각각 4만7000가구, 2만4000가구다.
이는 지난 2년간 입주 물량인 6만9000가구를 상회하는 규모다.


올해 공급 예정된 신축 아파트의 경우 정비사업을 통해 3만2000가구, 비정비사업을 통해 1만5000가구가 공급된다.
2026년 예정된 2만4000가구는 정비사업과 비정비사업을 통해 각각 1만3000가구, 1만1000가구를 공급할 방침이다.


지역별로 보면 올해 입주 예정 물량의 30.9%(1만4000가구)는 동남권 4개 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에 집중됐다.
100가구 이상 주요 입주 단지는 신반포4지구의 메이플자이(3307가구), 잠실래미안아이파크(2678가구), 잠실르엘(1865가구), 청담르엘(1261가구)이다.


시는 주택공급이 서울 동남권의 집값 안정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더욱이 오는 11월(8593가구)과 12월(5213가구)에 대단지 입주가 예정돼있어 내년 상반기까지 전·월세 시장에 안정적인 매물 물량 공급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


2027년은 사업추진 속도에 따라 신규 입주 물량이 정비사업 5년간 평균치(2만5000가구)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까지 예상되는 입주 물량은 2만3000가구다.
앞서 시가 제2·3종 일반주거지역 내 소규모 건축물의 용적률을 3년간 한시적으로 완화하기로 한 만큼, 소규모 재개발과 재건축 사업 활성화에 따른 공급 증가가 기대된다.


아울러 정비사업 착공 구역 62개소의 사업이 자연되지 않도록 공정관리에도 힘쓸 방침이다.
시는 아직 착공하지 않은 사업장도 매달 공정관리에 나서 올해 3만3000가구, 2026년과 2027년에는 각각 2만3000가구, 3만4000가구가 차질 없이 착공되도록 노력하겠다는 방침이다.


김성보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최근 주택시장 상황을 고려해 적기에 양질의 물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정비사업을 촘촘하게 공정관리 하겠다"며 "주택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지은 기자 jelee042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