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6∼28일(현지시간) 방미한 지 3주 만에 다시 미국행이다.
19일 산업부에 따르면 안 장관은 이번 방미 기간 동안 미국 측에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성과 등을 강조하면서 그간 한국 기업들이 상호 호혜적인 협력을 통해 일자리 창출 등 미국 경제에 기여한 바가크다는 점을 피력할 예정이다.
안 장관은 미국의 관세 조치 등이 한국 차별 대우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고 전하고 비차별적 대우를 적극 요청할 방침이다.
![]()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
그 전에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을 만나 우리나라 입장을 재차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지난달 방미 때도 러트닉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에게 미국이 하는 오해를 해소하고 양국 협력 방안 강화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이에 더해 이번주 내내 논란이 되고 있는 민감국가 지정 문제와 관련해 조속한 해결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안 장관은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과 취임 후 첫 회담을 가지고 민감국가 지정 문제를 해결해달라고 요청한다.
지난달 만나지 못한 라이트 장관과 원전, 에너지 공급, 전력 인프라 등 다양한 에너지 관련 이슈도 논의할 예정이다.
안 장관은 “한·미 간 투자·교역 등 협력을 통해 양국의 산업 생태계가 밀접하게 관련돼있다”며 “조선·에너지·첨단산업 등 전략 산업에 있어서 한·미 간 협력이 매우 중요한 상황임을 강조하는 한편, 관세 조치 등 미국 통상정책으로 인한 한국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미측에 당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유빈 기자 yb@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