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동결하자 Fed에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미국의 관세가 경제에 소기의 성과를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고 주장하면서 "Fed는 금리를 내리는 것이 훨씬 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옳은 일을 하라"며 "4월2일은 미국의 해방일"이라고 덧붙였다.
4월2일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 관세' 발표일이다.
정작 이날 금리를 동결한 Fed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을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 가중 요소로 짚었다.
Fed는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Fed는 이날 정책결정문에 "경제 전망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문구를 처음으로 추가하며 "위원회는 (물가 안정과 완전 고용) 이중 책무의 양쪽 위험에 모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꾸준히 금리 인하를 촉구하며 Fed를 공개적으로 압박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Fed가 지난 1월 20일 취임 후 처음 열린 1월 FOMC에서 금리를 동결했을 때도 SNS를 통해 "제롬 파월(Fed 의장)과 Fed는 자신들이 인플레이션으로 만든 문제를 멈추게 하는 데 실패했다"고 비판한 바 있다.
시장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이 가져올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역풍을 우려하고 있다.
영국 BBC는 "경제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일부 정책이 단기적으로 물가 상승을 초래하고, 기업들에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해왔다"며 "애널리스트들은 이런 우려가 주식 시장 매도세를 촉진했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미국 S&P500 지수는 2월 이후 10% 하락하며 지난해 9월 수준으로 회귀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 본인도 인정하는 대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관세 정책이 "약간의 혼란(a little disturbance)"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을 이끌 것이라며 관세 부과 계획을 철회할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한편, 미 월가에선 예상보다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적인 파월 의장의 발언에 연내 3회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졌다.
파월 의장은 FOMC 직후 기자회견에서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일시적(transitory)이라는 것이 "우리의 기본 시나리오"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다만 Fed 경제 전망에서 스태그플레이션(물가 상승 속 경기 둔화) 우려가 일부 확인된 데다, 내달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가 예정돼 있어 경계감을 늦춰선 안 된다는 분석도 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