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적인 대중성 어종인 고등어와 갈치, 오징어 생산량이 지난달 감소한 가운데 수산물 가격이 뛰면서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커지고 있다.
24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고등어 생산량은 5608t으로 전달보다 72.5% 감소했다.
이는 작년, 평년과 비교해도 각각 38.1%, 10.9% 감소한 양이다.
생산량이 줄어든 가운데 고등어 가격은 상승하고 있다.
지난달 고등어 산지 가격은 ㎏당 5937원으로 전달보다 28.4% 올랐다.
도매가격도 전달보다 6.7% 상승했다.
소비자가격(신선냉장)은 ㎏당 1만3620원으로, 평년과 작년 대비 각각 21.8%, 23.3% 급등했다.
다른 대중성 어종의 가격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지난달 갈치 생산량은 전달 대비 80% 감소한 917t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과 평년과 비교하면 각각 55.6%, 71.1% 줄어든 것이다.
갈치의 산지 가격은 전달보다 32.7% 오른 ㎏당 2만420원이다.
소비자가격도 ㎏당 2만3110원으로 9.0% 상승했다.
오징어의 지난달 생산량은 지난 1월보다 91% 감소한 194t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같은 달보다 2.0%, 평년 대비 91.3% 각각 감소한 수준이다.
생산량이 줄면서 오징어(신선냉장)의 산지 가격은 ㎏당 8059원으로 전달 대비 18.3% 올랐다.
이는 작년과 평년 대비 각각 50.9%, 70.7% 상승한 것이다.
소비자가격은 평년과 작년에 비해 각각 36.7%, 10.7% 올랐다.
대중성 어종의 생산량 감소의 원인으로는 어황 부진과 기상 영향으로 인한 조업 일수 감소, 기후 변화 등이 꼽힌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고수온 현상으로 어장이 이동하고, 어장이 형성돼도 수산물 밀도가 낮은 점이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해수부는 이달 들어 어황이 개선되면서 생산량을 회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해양수산부는 비축 물량을 풀고 할인 행사를 하면서 물가를 안정시킬 계획이다.
해수부는 지난 19일부터 수산인의 날 기념 수산물 할인 행사를, 오는 26일부터 수산물 구매 시 온누리상품권 환급 행사도 각각 진행할 예정이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