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최근 6개월간 공동주택(아파트·다세대·연립주택) 하자 판정 건수와 비율이 높은 상위 20개 건설사 명단을 24일 공개했다.
현대건설, 대우건설 등 대형 건설사들도 포함됐다.
국토부는 2023년 하반기부터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 판정을 토대로 6개월에 한 번씩 하자가 많이 발생한 건설사를 공개하고 있다.
이번이 네 번째다.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하자 판정 세부 건수가 가장 많은 곳은 ㈜한화로 97건이었다.
이어 ▲현대건설(81건) ▲대우조선해양건설(80건) ▲한경기건(79건) ▲삼부토건(71건) 순이었다.
㈜한화가 지어 공급한 1091가구에서 97건의 하자가 발생하면서 가구 수 대비 하자 판정 비율은 8.9%로 나타났다.
㈜한화 관계자는 "해당 단지는 몇 년 전에 이미 입주가 끝났고 필요한 조치도 마쳤지만 민원이 취하되지 않아 판정 건수가 많게 나온 것"이라며 "놀이터 재질을 바꾸기 위해 하자심의위원회에 직접 접수한 건이었다"고 설명했다.
5년 누적 기준으론 ▲GS건설(1458건) ▲계룡건설(603건) ▲대방건설(507건) ▲대명종합건설(349건) ▲SM상선(322건)이 상위권에 올랐다.

하자 판정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삼도종합건설로, 단지 공급 가구 수 대비 하자 판정 건수는 800%에 달했다.
이어 ▲서해종합건설(650%) ▲아이온산업개발(333.3%) ▲한경기건(171.7%) ▲라임종합건설(150%)이 뒤를 이었다.
이들은 모두 단지 공급이 50가구 미만인 소규모 건설사다.
최근 5년 누적 하자 판정 비율이 높은 건설사도 대부분 중소업체였다.
▲지우종합건설(2660%) ▲삼도종합건설(1687.5%) ▲혜성종합건설(1300%) ▲백운종합건설(741.7%) ▲지향종합건설(732.6%) 등 상위 20위 모두 300가구 미만 단지를 시공했다.
하자 심사 건수와 인정 비율은 해마다 늘고 있다.
지난해 총 1774건의 하자 심사 신청이 들어왔고 이 가운데 1399건이 하자로 인정됐다.
하자 판정 비율은 78.9%로, 2020년(49.6%) 이후 꾸준히 오르고 있다.
국토부는 이 같은 상승세에 대해 "공동주택 하자 사례를 정리한 사례집을 발간하고, 하자 소송이 늘면서 관련 판례가 축적된 영향이 크다"며 "이로 인해 입주자들이 하자를 더 정확히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한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주요 하자 유형은 기능 불량(15.2%), 마감재 들뜸(13.8%), 균열(10.3%), 결로(10.1%), 누수(7.1%), 변색(6.6%) 순이었다.
김영아 국토부 주택건설공급과장은 "명단이 공개된 이후 대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하자보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하자 분쟁 사건이 상당히 줄어들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명단 공개는 실효적 조치"라며 “건설 품질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 하자 관련 자료를 지속해서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