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관련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더라도 수급 부담으로 인해 달러·원 환율이 단기적으로 뚜렷한 하락세를 보이긴 어려울 것이라는 증권가 분석이 나왔다.
위재현 NH선물 연구원은 26일 '달러·원 환율 긴급 점검' 보고서에서 "정치적 불확실성도 원화 약세의 요인이지만, 지속되는 달러의 초과수요 국면도 달러·원 환율의 하단을 지지하고 있다"며 연간 환율 전망치를 기존 1360(하단)~1470원(상단)에서 1380~15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그만큼 원화 약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먼저 위 연구원은 주요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달러화지수)가 연초 이후 약세 흐름을 보인 것에 대해 "시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을 물가 상승이 아닌 경기 둔화 재료로 해석한 영향이 컸고, 유럽의 재정확장이 유로화 강세를 견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최근 달러인덱스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 수준으로 하락한 것과 달리, 달러당 원화 환율은 연고점(1472.5원) 부근에 도달한 상황이다.
전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주간 거래 종가 기준)은 1469.2원을 기록했다.
이에 대해 위 연구원은 "탄핵정국이 장기화되는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과 구조적인 외환 수급 불균형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는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은 늦어도 4월 초에 해소될 공산이 크다.
탄핵 정국이 일단락되면 불확실성 해소 측면에서 일시적인 환율 하락이 동반될 수 있다"면서도 "문제는 수급"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시점이 지나도 수급 부담이 해결되지 않는 한 달러·원 환율의 하향 안정은 어렵다"며 "내국인 투자자의 해외증권 투자, 국내 기업들의 FDI 투자 대기 자금은 모두 달러화 수요를 자극하고 있는 반면, 국내외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수출업체의 달러화 매도의욕은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한 "수급 부담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라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해외 증시급락에 따른 내국인 해외투자 자금 청산, 혹은 트럼프의 대폭 완화된 관세정책이 없는 한, 달러·원 환율의 추세적인 하향은 단기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