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중소기업중앙회가 국내 대학에 다니는 외국인 유학생 8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외국인 유학생 졸업 후 진로 의견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86.5%가 졸업 후 한국 내 취업을 원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전문학사 과정 유학생의 경우 이 비율이 90.8%로 더 높았다.
![]() |
부산의 한 국립대학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 참가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K팝 댄스공연을 즐기고 있다. 연합뉴스 |
이후 ‘본국 대비 높은 연봉 수준’(27.7%), ‘관심 있는 분야에서 일하고 싶어서’(25.6%) 등의 순이었다.
취업 희망자 중 63.6%는 3년 이상 근무하길 원했다.
다만 취업에 필요한 특정 활동(E-7) 비자를 취득하기가 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이 66.7%에 달했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졸업 후 고용계약에 따라 취업 활동을 하려면 E-7 비자를 부여받아야 한다.
E-7 비자 취득이 어려운 이유로는 ‘E-7 비자로 채용하는 기업이 적어서’가 40.0%를 차지했고 ‘E-7 비자의 직종이 제한적이어서’ 21.4%, ‘E-7 비자를 제공하는 기업의 정보가 부족해서’ 19.6% 등의 순이었다.
전체 유학생의 58.8%는 비전문 취업(E-9) 비자가 허용되면 중소기업 생산직 등 현장에서 일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전문학사 유학생은 67.2%가 E-9 비자 취득을 희망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현행 제도상 E-9 비자는 유학(D-2), 구직(D-10) 비자에서 전환이 허용되지 않는다.
현재 외국인 유학생의 비전문 분야 취업(E-9)을 허용하는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은 지난해 11월 발의돼 계류 중이다.
이명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한국어 능력을 갖춘 유학생을 중소기업 현장에서 적극 활용하면 의사소통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산업재해 예방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며 “E-9 비자 전환 허용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