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재산 44억1986만원을 신고했다.
1년 전(44억7656만원)보다 약 5700만원 줄었다.

27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 신고사항'에 따르면 이 총재가 신고한 44억1986만원 가운데 11억2500만원은 본인 명의 경북 구미시 고아읍 임야 평가액이었다.
1년 전보다 2800만원 이상 늘었다.
그러나 배우자 명의 서울 강남구 역삼동 역삼래미안 아파트(59.53㎡) 평가액은 12억9700만원에서 12억3100만원으로 6600만원 줄었다.
예금은 이 총재 본인(4억3374만원)과 배우자(3억3743만원), 장남(9062만원) 등이 8억6179만원을 신고했다.
예금 총액이 1년 전보다 줄어든 이유는 '월세·의료비·소비 등'으로 기재됐다.
유상대 한은 부총재는 재산 23억8343만원을 신고했다.
1년 전과 비교해 약 2억5000만원 늘었다.
배우자와 공동으로 소유한 서울 동작구 동작동 이수스위첸포레힐즈(84.95㎡) 평가액 12억원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배우자 명의 경기 부천시 다세대주택 전세 임차권 8000만원이 빠졌다.
본인과 배우자 등의 예금은 8억1455만원에서 11억3061만원으로 3억원 이상 늘었다.
이전 직장 상여금, 전세보증금의 월세 전환 등이 이유로 기재됐다.

이 총재와 유 부총재를 포함한 금융통화위원 7명 가운데 가장 재산이 많은 사람은 장용성 위원으로, 102억8622만원을 신고했다.
2023년 4월 취임한 장 위원의 재산은 1년 전보다 24억2067만원 늘었다.
배우자와 공동명의인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파크타운(101.9㎡)이 8억8200만원, 서울 중구 회현동1가 남산롯데캐슬아이리스(113.46㎡)가 11억4377만원으로 신고됐다.
예금은 42억3881만원으로 장 위원 본인이 39억5574만원, 배우자가 2억8306만원 보유했다.
1년 전 대비 8억6000만원가량 늘었다.
테슬라·아마존 등 해외 상장주식 재산 역시 15억5000만원 이상 늘어 42억3779만원이었다.
신성환 위원의 재산은 50억6890만원으로 1년 새 약 2억6000만원 불었다.
본인 소유의 서울 용산구 이촌동 래미안 첼리투스(124.02㎡)와 배우자 소유의 이촌동 엘지한강자이(168.53㎡) 지분(39.18㎡) 평가액이 1년 전보다 약 3억원 늘어 33억8605만원이었다.
본인과 배우자, 장녀의 예금 9억7675만원, 본인 소유 비상장주식 약 6900만원 등도 신고됐다.
지난해 2월 취임한 황건일 위원은 재산 30억2496만원을 신고했다.
취임 당시보다 약 5억원 늘었다.
배우자가 서울 동작구 상도동 래미안상도3차(114.97㎡)의 2억623만원어치 지분(28.74㎡)을 상속했고 본인과 배우자 등의 예금도 3억7506만원에서 12억7501만원으로 늘었다.
지난해 신고됐던 네이버·삼성전자 등 5억8780만원 규모 국내 주식은 모두 매각됐다.
지난해 4월 금통위원에 합류한 김종화 위원은 재산 40억5142만원을 신고했다.
서울 서초구 방배동 방배현대멤피스2(162.80㎡)가 14억5500만원, 본인 예금이 13억8251만원이었다.
같은 시기 취임한 이수형 위원은 재산 23억3166만원을 신고했다.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현대(189.63㎡)가 12억9779만원, 사인 간 채권이 11억원이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