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재개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외국인 투자자의 귀환이 기대되고 있다.
외국인은 롱숏과 헷지 등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는 데 공매도 금지로 투자 방법이 한정되면서 한국 증시에서 멀어졌다.
외국인 투자자 복귀시 한국 증시에도 긍정적 영향이 기대된다.
또 기대되는 부분은 투자자 신뢰도 회복이다.
과거 공매도는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들에 유리한 조건이 적용됐다.
즉 개인투자자 입장에서는 '기울어진 운동장'이었던 것이다.
금융당국은 공매도 금지 후 처벌 강도 강화, 공매도 점검 시스템 구축 등 제도 정비와 신뢰도 제고 노력에 나섰다.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오는 31일부터 주식시장에서 공매도가 재개된다.
2023년 11월 무차입 공매도 근절을 위한 제도개선을 이유로 전면 금지된 지 약 17개월 만이다.
공매도 재개로 시장이 가장 기대하는 부분은 외국인의 귀환이다.
외국계 펀드는 주식 투자 시 보유 주식의 가격 하락 위험을 헤지하기 위해 공매도를 활용한다.
이를 통해 롱·숏 전략을 펼친다.
공매도 금지 조치가 외국인 자금 유입에 걸림돌이 된다는 분석이 제기된 배경이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1차 공매도 금지 기간(2008.10.1~2009.5.31) 외국인은 코스피에서 4조1350억원을 순매수했고 코스닥에서 1조3310억원을 순매도했다.
또 유럽 재정 위기가 발발했던 2차 시기(2011.8.10~11.9)에는 코스피에서 1조4990억원, 코스닥에서 9970억원을 팔아치웠다.
3차(2020.3.16~2021.5.2) 때는 각각 23조840억원과 1890억원을 순매도하는 등 매도세가 더 강했다.
하지만 공매도 재개 후에는 순매수 흐름을 보였다.
다올투자증권에 따르면 1차 공매도 재개 이후 한달 동안 외국인은 코스피에서 누적으로 2조1000억원을, 3개월로는 11조6000억원을 순매수했다.
2차때도 1개월 후에는 1조2000억원을 순매도했으나 3개월이 지난 시점에서는 5조원을 순매수했다.
3차 공매도 직후에는 앞서 1~2차와 다른 흐름을 보였다.
3개월 후 외국인은 14조3000억원을 순매도했다.
이 시기에는 코로나19 팬더믹으로 인해 외국인 엑소더스가 지속했다.
예외적인 상황이라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투자자 복귀시 코스피도 상승세를 보일 수 있다고 전망한다.
신영증권에 따르면 1차 공매도 재개 후 1년 뒤 외국인 지분율은 공매도 시기 대비 11.1% 상승했고 수익률은 17.6%를 기록했다.
2차 공매도가 끝난 후 1년 뒤 코스피 수익률은 6.5%였다.
외국인 지분율은 5.6% 증가했다.

여기에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 편입도 기대된다.
작년 6월 MSCI는 한국의 공매도 금지 정책이 외국인의 투자 접근성을 제한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태윤선 KB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재개 시, 단기적으로는 지수 급락, 업종별 변동성 확대 등이 나타날 수 있다"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외국인 수급 유입 등 유동성 개선과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등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다만 공매도가 재개된다고 해도 결국 펀더멘탈이 증시의 방향성을 가르는 만큼 경제 환경이 더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재개는 외국인 투자자의 시장 참여를 촉진하는 요인 중 하나일 수 있다"면서도 "외국인 자금의 유입 및 유출은 글로벌 경제 상황, 금리, 환율 등 거시경제 환경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설명했다.
이뿐만 아니라 공매도 재개 후 기대되는 부분은 투자자 신뢰 제고다.
금융당국은 그동안 불법 공매도와 관련해 여러 조치를 취했다.
2023년 11월 공매도 금지 조치 후 한국거래소에 중앙점검시스템(NSDS)을 도입했다.
NSDS는 공매도 투자자의 잔고 관리 시스템과 연계, 실시간으로 매도 가능 잔고 여부를 판단해 불법(무차입) 공매도를 사전에 차단한다.
이와 함께 공매도 금지 기간 글로벌 투자은행(IB)에 대한 불법 공매도 전수 조사를 진행하면서 과징금 등의 절차를 실행했다.
또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불법 공매도 행위에 부당이득의 최고 6배에 달하는 벌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했다.
금융당국은 NSDS가 불법 공매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달 "과거 불법 사례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99% 확률로 적발할 수 있었다"며 "무차입 공매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시스템적인 오류로 인해 주식시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자신 있다는 것이 금융당국의 입장이다.
금융당국 한 관계자는 "NSDS 시스템은 사후 적발 시스템이기 때문에 거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