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가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수수료 면제, 모든 대출 중도상환해약금 면제, 체크카드 캐시백 혜택 등을 통해 약 1조688억원의 금융 혜택을 고객에게 환원했다고 27일 밝혔다.
카카오뱅크는 금융권 최초로 리눅스 기반 오픈소스를 도입해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했다.
이를 통해 고객 금융비용 부담을 줄였는데, 전국 모든 ATM에서 입출금 및 이체 거래를 수수료 없이 제공하고 있다.
누적 면제 금액은 3794억원이며 중도상환해약금 면제액의 경우 1735억원이다.
카카오뱅크 체크카드는 사용 실적과 관계없이 캐시백 혜택을 제공한다.
‘프렌즈 체크카드’는 지난해 누적 발급 건수 3100만장을 돌파했으며 누적 4781억원의 캐시백 혜택을 제공했다.

금융소비자 권리 강화를 위해 금리인하요구권도 적극 안내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누적 378억원의 이자를 절감했다.
은행연합회 공시를 보면 지난해 하반기 인터넷은행 중 가장 많은 금리인하요구권 신청과 수용 건수를 기록했다.
이자감면액의 경우 전체 은행 가운데 2위를 차지했다.
IT 혁신을 통한 금융 사기 예방에도 힘쓰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 고객 금융사기를 보호한 금액은 648억원이다.
이는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모니터링 시스템과 부정사용방지시스템(FDS)을 통해 가능했다.
금융권 최초로 3700만 건의 가명 결합 데이터를 활용해 독자적 대안신용평가모형(CSS)인 ‘카카오뱅크 스코어’를 개발해 적용하고 있다.
금융정보 위주의 산출로 대출이 거절됐던 중·저신용 고객에 8100억 원 규모의 대출을 추가로 공급했다.
이외에도 지난해 2조5000억원 이상의 중저신용 대출을 공급했으며 출범 이후 누적 공급액은 13조원을 넘어섰다.
카카오뱅크는 “출범 이후 고객들의 편리한 금융 생활을 위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선보여 왔으며, IT 혁신을 바탕으로 한 성장을 고객 금융부담 완화로 연계하는 성과를 이끌어냈다”라며 “앞으로도 카카오뱅크가 선보일 혁신이 금융 산업 전반으로 확산돼 고객 혜택으로 꾸준히 이어질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오규민 기자 moh01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