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車관세 폭탄 투하] '메타플랜트'로 방화벽 쌓은 현대차...패닉 빠진 한국GM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브라이언 켐프Brian P Kemp 조지아 주지사가 HMGMA에서 생산된 아이오닉 5 차량에 기념 서명을 한 뒤 기념 촬영하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브라이언 켐프(Brian P. Kemp) 조지아 주지사가 HMGMA에서 생산된 아이오닉 5 차량에 기념 서명을 한 뒤 기념 촬영하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미국이 오는 4월 3일부터 수입산 자동차와 핵심 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국내 완성차 업계도 바짝 긴장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현대차·기아·한국GM 등이 미국에 수출한 차량은 143만대로 전체 자동차 수출(279만대) 중 절반 이상이다.
국내 공장에서 만든 3만 달러짜리 자동차에 25% 관세가 붙으면 7500달러가 더 비싸지는 셈이라 현지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현대자동차그룹은 현재 40% 수준인 미국 생산량을 70% 이상으로 확대해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전략이지만 북미 수출 비중이 80%이상인 한국GM은 사업장 철수까지 고려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7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이날 미국 내 세 번째 공장인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준공하며 100만대 생산 체제를 구축했다.
HMGMA에는 완성차 생산 공장과 차량 핵심 부품 계열사, 배터리셀 합작 공장, 국내 중소 부품 협력사 등이 입주해 미국에서 판매할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을 생산한다.
회사 측은 80억 달러를 추가 투자해 현재 30만대인 HMGMA 생산능력을 50만대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현대차·기아의 미국 판매량은 171만대로 국내 생산 물량은 101만대(59.1%)다.
현재 운영 중인 앨라배마 현대차 공장(36만대), 조지아 기아 공장(34만대), HMGMA(50만대) 3곳을 합쳐 미국 생산량이 연 120만대로 늘어나면 미국 판매량 중 70% 이상을 현지에서 생산할 수 있다.
관세 부과에 따른 타격을 상당 부분 상쇄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지난 24일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향후 4년간 210억 달러(약 31조원)를 미국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정 회장은 이날 HMGMA 준공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세라는 것은 국가와 국가 문제이기 때문에 일개 기업이 어떻게 한다고 큰 영향을 주기는 힘들 거라고 생각한다"며 "관세 발표 이후에도 개별 기업으로서 협상을 해나가고 정부도 주도적으로 해나가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4월 2일 이후부터 굉장히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라고 위기감을 내비쳤다.
 
관세 방화벽을 구축한 현대차그룹과 달리 한국GM은 직격탄을 맞을 전망이다.
지난해 한국GM 판매량 49만9559대 중 미국 수출분은 83.8%(41만8782대)에 달한다.
신차 출시가 늦어지면서 한국GM 내수 판매량은 2023년 3만8755대에서 지난해 2만4824대로 35.9% 감소했다.
국내에 도입하기로 한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이쿼녹스EV' 출시도 사업성을 이유로 최근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발(發) 자동차 관세는 한국 경제에도 심각한 타격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미국이 자동차 산업에 25% 관세를 매기면 올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전년 대비 18.59% 감소할 수 있다고 봤다.
씨티는 한국산 자동차, 부품, 의약품, 반도체 등에 25%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이 0.203%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결국 우려가 현실로 다가왔다"며 "개별 기업 차원에서 막을 수 없는 문제라 정부 대응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자본력이 있는 현대차그룹은 대미 투자를 통해 대응할 수 있겠지만 미국 수출 물량이 80%를 넘는 한국GM은 막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한국GM 철수설이 현실화하면 공장이 있는 지역 경제와 부품업계는 완전히 초토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주경제=한지연 기자 hanji@ajunews.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