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시내에 설치된 은행 ATM 기기. 연합뉴스 |
금융당국의 관리 기조 강화 속에 3월 가계대출 증가세가 눈에 띄게 꺾였다.
다만 지난달 발생한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의 해제·재지정에 따른 주택 거래 증가분이 아직 대출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당국은 다음 달까지도 신중히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3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3월 들어 지난 27일까지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전달(4조3000억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번 달 월말 영업일(28일·31일)을 감안해도 최종 증가액은 약 2조원 안팎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금융당국이 대출을 강하게 조였던 지난해 12월(2조원대 증가) 수준과 유사한 흐름이다.
신학기와 이사철로 인한 계절적 수요가 사라진 데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이 지역별·월별 대출 승인 현황을 정밀하게 점검하면서 대출 증가세에 제동이 걸린 것으로 분석된다.
은행들은 내부적으로 분기별 대출 증가 목표치를 설정해 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율하고 있으며, 금융감독원은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경영진 면담 등의 방식으로 직접 경고를 주겠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최근 강남·서초·송파·용산구를 다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했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해제 직후 늘어난 주택 거래량이 대출 실행으로 이어지기까지 1~2개월 정도의 시차가 있다”며 “아직은 영향이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난주 대출 승인 건수 기준으로는 강남 4구와 여타 지역 간 뚜렷한 차별화는 나타나지 않았다”며, “다만 은행 창구 대출 상담 건수 등은 소폭 늘고 있어 계속 주시 중”이라고 말했다.
당국은 여전히 다주택자와 갭투자자에 대한 대출 규제를 엄격히 적용 중이다.
신규 주담대 제한, 전세자금대출 조건 강화 등이 유지되고 있으며, 필요 시 추가 대책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7월에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적용이 예정돼 있어 대출 규제는 더 엄격해질 전망이다.
현재까진 안정세로 보이지만, 금융당국은 토허제 해제로 인한 거래 급증의 후폭풍이 4월 대출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과 겹쳐 가계부채 관리의 중요성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