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한·중·일 경제통상장관 5년만에 회동

美 4월 2일 상호관세 발표 예정
3국 ‘높은 수준’ FTA 수립 추진
中, 韓과 반도체 협력 중요성 강조


보호무역주의 확대로 세계 경제 질서가 요동치는 가운데, 한·중·일 3국 경제통상장관들이 5년여 만에 한자리에 모여 3국 간 협력 필요성에 공감하고 경제·통상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성 대신이 3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제13차 한·중·일 경제통상장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가운데)과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왼쪽),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이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3차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중·일 통상장관 회의가 개최된 것은 2019년 12월 베이징 회의 이후 5년여 만이다.
특히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4월2일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열린 터라 이목이 쏠렸다.

3국 장관은 역내·글로벌 경제 번영과 안정을 위한 3국 간 협력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재확인하고 경제·통상 분야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3국은 세계무역기구(WTO) 개혁,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신규 회원 가입 등 다자무역 체제 관련 이슈와 함께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현재 한·중 FTA는 체결됐지만 한·중·일 3자 FTA는 논의만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중국 상무부가 홈페이지에 공개한 보도문에 따르면 왕 부장은 전날 서울에서 열린 한·중 상무장관회의에서도 3국 FTA 강화 필요성을 언급했다.
왕 부장은 “중국과 한국은 모두 자유무역과 다자주의의 수혜자이자 수호자”라며 “지역 및 다자 틀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한·중·일 FTA 협상의 조속한 재개를 추진해 다자무역 체제를 공동 수호하고 지역 경제 통합을 촉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왕 부장은 이어 “한·중 FTA 2단계 협상을 가속하고, 한·중 산업·공급망 협력 핫라인과 수출 통제 대화 등의 대화체를 통해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왕 부장은 이외에도 “중·한은 서로에게 중요한 경제·통상 협력 파트너로서 반도체 등 분야에서 산업·공급망이 깊이 통합되어 있다”며 반도체 부문 협력의 중요성을 꼭 집어 강조하기도 했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