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지난 26일부터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이에 따라 가장 많이 팔리는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7000원에서 3만9000원이 됐다.
또 인기 제품인 ‘클래식 가토 쇼콜라(4만원)’와 ‘스초생 2단(4만8000원)’은 4만원이 넘었다.
![]() |
투썸플레이스 케이크. 투썸플레이스 제공 |
또 ‘파베 초콜릿 케이크’와 ‘생블루베리 요거트 생크림’은 8800원에 판매한다.
투썸플레이스는 환율 상승(원화 가치 하락)과 초콜릿 원료인 코코아, 유제품 등주요 원재료 가격이 급등해 불가피하게 가격을 인상했다고 설명했다.
SPC 파리바게뜨와 CJ푸드빌 뚜레쥬르가 판매하는 케이크 가격도 3만원대 후반까지 높아졌다.
조각 케이크는 비싼 제품의 경우 1만원에 육박한다.
서울의 한 파리바게뜨 우유 생크림 케이크는 3만8000원과 3만9000원에 판매한다.
이에 대해 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 측은 “권장 소비자가격은 그보다 낮다”면서 “상권에 따라 매장마다 케이크 가격을 1000∼2000원 높여 받기도 한다”고 말했다.
![]() |
파리바게뜨 우유 생크림케이크. 파리바게뜨 제공 |
지난달 파리바게뜨는 2년 만에 빵 96종과 케이크 25종 가격을 평균 5.9% 인상했다.
파리바게뜨 관계자는 “원료비와 각종 제반 비용 상승에 따라 불가피하게 가격을 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뚜레쥬르는 이달 1일부터 빵과 케이크 110여종의 가격을 평균 약 5% 올렸다.
뚜레쥬르는 주요 원재료와 각종 제반 비용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 |
뚜레쥬르 진한 우유 생크림케이크. 뚜레쥬르 제공 |
앞서 원두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과 원-달러 환율 급등 여파로 커피 전문점들이 잇달아 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지난 1월 스타벅스는 아메리카노 톨 사이즈 가격을 4700원으로 200원 올리는 등 제품 가격을 200∼300원 올렸다.
폴바셋도 카페라테와 룽고 가격을 각각 200원, 400원씩 올렸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