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 부담 감내해왔으나…국제 원두가격·환율 폭등”
식품 기업의 줄인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저가 커피 브랜드까지 가격 인상에 동참했다.
![]() |
메가커피 매장 전경. 메가커피 제공 |
메가MGC커피는 내달 21일부터 아메리카노 등 일부 메뉴의 판매 가격을 조정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메가MGC커피의 가격 조정은 브랜드 론칭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가격 인상 품목은 5가지다.
아메리카노(HOT) 가격 1500원에서 1700원으로 200원 올린다.
할메가 시리즈인 할메가커피(1900원→2100원)와 할메가미숫커피(2700→2900원)도 각각 200원씩 인상한다.
대용량 메뉴인 메가리카노와 왕할메가커피는 3000원에서 3300원, 2900원에서 3200원으로 각각 300원씩 오른다.
에스프레소 샷 추가도 1샷당 600원으로 100원 올랐다.
다만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은 기존 가격인 2000원을 그대로 유지한다.
메가커피 관계자는 “지난 한 해 동안 원두 가격을 좌우하는 국세 생두 시세가 2배 가까이 상승하고 환율 폭등까지 이어져 원가 압박이 심화됐다”며 “대부분의 커피 브랜드가 가격을 인상해 왔으나, 고객 편의를 위해 가격 인상을 지양하고 원가 부담을 감내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커피 원가 상승이 과도한 상태에서 향후에도 생두 시세나 환율이 쉽게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부득이하게 일부 커피 메뉴 판매 가격을 조정하게 됐다”며 “그동안 가맹점주들의 의견이 꾸준히 접수돼 반영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회사가 취할 수 있는 최소한의 범위에서 이뤄진 것이라는 점에서 소비자들에게 양해를 부탁드린다”며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가성비 커피 1위 브랜드로서 좋은 품질, 다양한 맛의 메뉴들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지속해 제공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올해 들어 가격을 올리거나 올리기로 한 식품·외식 업체는 현재까지 파악된 곳만 40개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커피 브랜드 중에는 앞서 1월 스타벅스가 원두 가격과 환율 급등을 이유로 가격을 올리자 커피 브랜드 가격 인상이 잇따랐다.
메가커피 외에도 저가 커피 브랜드인 컴포즈커피와 더벤티도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컴포즈커피는 지난달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1500원에서 1800원으로 올렸다.
더벤티는 이달 초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을 1800원에서 2000원으로 200원 인상했다.
또 폴바셋, 할리스, 파스쿠찌, 투썸플레이스, 네스프레소 등이 가격을 올렸고 이디야커피는 ‘배달 전용 판매가’(이중가격제)를 도입해 배달 메뉴 가격을 인상했다.
나머지 커피 업체들도 가격 인상에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비상계엄 이후 탄핵 정국 속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최근 1460원대까지 급등한 데다 원재료 등 각종 비용이 오른 것이 직접 원인으로 꼽힌다.
정국 불안을 틈타 기업들이 가격 인상을 앞당긴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 같은 ‘무차별 가격 인상’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지난 28일 성명을 내고 “기업들의 도미노 가격 인상은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더 위축시킬 것”이라며 “K푸드의 인기로 식품기업의 실적 호조가 예상돼 주가도 오르는 상황에서 가격 인상은 타당성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김수연 기자 sooya@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