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1592년 발발) 전후에 제작된 거북선은 조선수군의 주력군함인 판옥선의 상체부분에 철심 등이 박혀있는 덮개를 덮고, 용두에 포를 설치하는 등 돌격전에 최적화된 군함이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전에는 상체부분에 덮개를 덮은 배가 없었을까? 거북선은 방위산업 측면에서 판옥선(조선 시대에 널빤지로 지붕을 덮은 전투선)보다 개선되고 유용한 발명일까?
![]() |
앙부일구. 특허청 제공 |
특허청은 선조 발명가들의 업적을 기리고자 거북선, 측우기 등 선조 우수 발명 15점에 대한 명예 특허 여부를 심사한다.
특허청은 발명의날(5월 19일) 60주년을 맞아 이같은 행사를 진행한다고 31일 밝혔다.
발명의날은 세계 최초 측우기를 발명한 날인 1441년 5월19일을 기념하기 위해 1999년 법정기념일로 지정됐다.
![]() |
거중기. 특허청 제공 |
거북선 등 최종 선정된 우수 발명들의 주요 기술에 대한 설명 및 주요 특징은 특허심사를 위해 명세서 형태로 작성돼 특허 출원됐고, 전문가 자문도 거쳤다.
거북선은 판옥선 상체부분에 철심 등이 박혀 있는 덮개를 덮어 적탄으로부터 승조원을 보호하고, 적병의 승선을 원천 봉쇄한 혁신적인 군함으로, 측우기는 서양보다 200여년이나 앞선 우량계로 각각 평가받고 있다.
![]() |
측우기. 특허청 제공 |
거북선은 판옥선에 뚜껑을 덮은 것으로 신규성이 인정되고, 뚜껑을 갑옷 형태로 씌워 진보성이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쟁에서 군함으로 활동했으니 사업성과 이용가능성을 충족시켰다는 전망이 나온다.
심사위원들은 이들 기준을 적용, 종합적으로 검토한 이후 다음달 말 명예 특허 등록여부를 결정한다.
특허청은 등록 결정되는 선조 발명에 대해 명예 특허증을 발급할 계획이다.
일부 발명품은 발명의 날 기념식의 특별전시관에 독립유공 발명가의 발명품, 우리나라 산업발전의 주역 발명품 등과 함께 전시할 계획이다.
![]() |
거북선. 특허청 제공 |
김정균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발명은 먼 선조 때부터 오늘날까지 언제나 우리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왔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역사 속 우리나라 발명 업적을 조명하고 현재와 미래의 발명 중요성을 다시 되새기는 뜻깊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